인천광역시가 26일 내년도 문화·체육·관광 분야의 핵심 정책 방향을 발표했다.
시는 이날 미추홀구에 있는 틈 문화창작지대에서 시민과 문화예술인, 국제기구 관계자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6년 주요 업무 보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문화적 상상으로 도시를 실현하는 문화강시(文化强市) 인천'을 주제로 열린 이날 보고회는 내년도 핵심 정책방향을 공유하고 현장의 의견을 직접 듣는 소통형 행사로 개최됐다.
유정복 시장은 "2026년은 인천이 문화·스포츠·관광·국제교류 전 분야에서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는 해"라며 "글로벌 환경 변화 속에서 외교와 관광 전략이 조화롭게 작동해야 시민이 체감하는 문화정책이 완성된다"고 강조했다
인천시는 보고회를 통해 일상 속 문화 접근성을 높이고 글로벌 관광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다각적 전략을 제시하며 시민과 함께 만드는 '2026 문화관광도시 인천' 비전을 밝혔다.
인천시는 내년도 문화체육 분야 5대 핵심 정책을 △모두의 삶을 잇는 문화도시 실현 △개항장 중심의 제물포 르네상스 브랜드 강화 △미래예술 생태계 구축 △시민과 함께하는 스포츠 도시 조성 △글로벌 문화축제 확대 등을 제시했다.
시는 우선 생활 속 문화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천원 문화티켓'을 2026년부터 연중 운영한다. 청년문화예술패스와 문화누리카드 지원도 확대해 계층 간 문화격차 해소를 추진한다. 생활권 문화 인프라 확충을 위해 인천뮤지엄파크 조성, 검단신도시·백년이음도서관 착공도 추진된다.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제물포 르네상스' 사업도 속도를 낸다. 인천아트플랫폼을 시민 중심 열린 공간으로 재편하고 옛 제물포구락부 등 근대문화유산을 복합문화공간으로 재정비한다. 2026년 개관하는 소금창고 복합문화시설, 2029년 개관 예정인 인천우정통신박물관도 핵심 관광 인프라로 조성된다.
미래예술 정책도 도입된다. 인천시는 2026년 인공지능(AI) 기반 문화유산 애니메이션 제작 사업을 추진하며 KAIST·아트센터 나비와 공동 기획한 특별전 '로봇과 함께 춤을'을 개최한다. 또 시립청소년교향악단 창단을 통해 미래예술 인재를 육성한다.
스포츠 분야에서는 인천유나이티드 FC의 '1-2-3 단계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국제경쟁력을 강화한다. 2026년에는 인천마라톤을 2만여 명 규모의 전국 대표 대회로 확대 개최하고, 2027년 세계육상연맹(WA) 라벨 인증을 추진한다.
생활문화 확산과 관광객 유치를 위한 글로벌 축제 확대도 추진된다. '요기조기 음악회'는 2026년부터 연 300회 이상 정례 운영되며 인천펜타포트 락페스티벌은 해외 페스티벌과 교류를 확대하고 다국어 앱을 도입해 해외 관람객 유치를 강화한다. 인천시는 또한 2028년 전국무용제 유치도 추진 중이다.
글로벌 정책 분야에서는 국제교류 확대, 재외동포 정책 체계화, 외국인 주민 지원 강화 등을 골자로 한 'K지방외교' 전략을 내놨다. 시는 제3차 국제도시화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프랑크푸르트·칭다오·카자흐스탄·말레이시아 등과 신규 협력관계를 확대한다.
재외동포 정책은 '2025~2026 재외동포 인천 방문의 해'를 중심으로 추진된다. 2026년 10월 열리는 제24차 세계한상대회에는 3000여 명의 동포 경제인이 참여하며 재외동포웰컴센터는 상시 교류거점 역할을 강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