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코텍이 임시 주주총회를 앞두고 주주들과의 소통에 나섰다. 렉라자(성분명: 레이저티닙) 원개발사 제노스코를 완전 자회사로 품기 위한 과정에서 주주가치가 훼손될 것이란 일각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서다.
오스코텍은 2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교육원에서 주주 소통 간담회를 진행했다. 다음 달 예정된 임시 주주총회와 관련해 주주들과의 이견을 좁히기 위해서다. 오스코텍은 다음 달 5일 ▲정관 변경의 건(발행예정주식의 총수 변경) ▲사외이사 김규식 선임의 건 ▲사내이사 신동준 선임의 건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등을 처리할 예정이다.
오스코텍은 임시 주총을 통해 기존 4000만주인 발행 예정 주식 총수를 5000만주로 늘리고자 한다. 자회사 제노스코의 완전 자회사화를 통해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경영 투명성 제고를 위한 재원을 마련하는 게 목적이다. 오스코텍은 제노스코 지분 59.12%를 보유했다. 나머지 지분 40.88%를 매입하기 위해 전략적·재무적 투자자 유치 등을 통한 추가 재원 조달이 필요하다. 오스코텍은 제노스코의 가치가 오르기 전 지분을 매입하는 게 자금 효율적인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오스코텍 관계자는 "현재 회사의 기발행주식수는 3800만주로 발행 가능한 주식의 95.6%가 이미 발행돼 있다"며 "실제 주식 수 증가가 아닌 발행 가능 주식 총수의 증가인 점, 자금 조달 후 사용처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선행돼있다는 점에서 주주 가치를 최우선한 회사의 선택"이라고 설명했다.
주주들은 추가 발행된 주식이 회사 창업자이자 지난 3월 오스코텍 대표에서 해임된 김정근 고문의 우호 지분을 늘리는 데 활용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김 고문의 아들인 김성연씨는 제노스코 지분 13%가량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오스코텍이 제노스코 지분을 매입하는 과정에서 가치를 부풀려 김씨 보유 주식을 고액에 매입할 것이란 걱정도 있다.
신동준 오스코텍 전무(CFO·최고재무책임자)는 "발행 한도를 1000만주 늘려 조달한 자금은 제노스코 지분 매입에만 사용할 것"이라며 "주주들이 트라우마를 갖고 있는 주주배정 유상증자는 절대 없을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그러면서 "회사 특수관계인의 지분이 있는 제노스코의 가치평가에 대한 우려도 있는 것으로 안다"며 "주주연대나 주주들이 선임하는 위원 등이 모여서 가치평가 과정을 모니터링하는 방법도 고려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신규 이사 후보, 경쟁력 강화 적임자… 김정근과 인연 없어"
오스코텍은 이사 선임에 대한 주주들의 우려를 없애는 데에도 집중했다. 오스코텍은 김규식 사외이사 후보가 독립적 이사회 활동을 강화해 경영진과 주주 간 이해관계를 일치시키는 선순환 구조 구축에 도움이 될 것으로 봤다. 김 후보는 법률, 리스크 관리, 주주가치 제고 전문가로 꼽힌다.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금융감독원 법률 고문, KSA 법률사무소 대표변호사,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 회장 등을 역임했다.
신동준 사내이사 후보에 대해서는 제노스코의 완전 자회사화, 시장과의 신뢰 구축 등에 기여할 것으로 회사는 평가했다. 중앙대학교 경제학 박사 과정을 수료한 신 후보는 미래에셋증권 트레이딩 부문 운용전략실장, KB증권 리서치센터장 등을 거쳐 오스코텍 전무(CFO·최고재무책임자)를 맡고 있다. 자본시장과 투자 전략 분야의 전문가라는 평가를 받는다.
일부 주주들은 김 고문의 우호 인사가 오스코텍 이사회에 진입하는 것인지 우려하고 있다. 이번 임시 주총은 기습적으로 소집됐으며 이는 김 고문 체제 지배력 강화를 위한 포석이라는 게 일부 주주 주장이다. 회사 측은 임시 주총 소집 결의 전 주주연대와 세 차례에 걸쳐 논의를 진행했다고 반박했다. 김 후보와 신 후보 모두 김 고문과는 인연이 없다는 게 회사 관계자 설명이다.
이상현 오스코텍 대표는 "회사는 지금껏 주주 여러분의 도움으로 성장하면서 여기까지 올 수 있었다"며 "이 자리에 머물지 않고 레이저티닙을 넘어 더 큰 성과로 주주들에게 보답하려고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