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보생명이 서울경찰청과 업무협약을 맺고 실종취약계층 보호를 강화하는 가운데 사회복지사 복지 향상에도 힘쓰고 있다. 사진은 서울 광화문 교보생명 사옥 전경. /사진=교보생명

교보생명이 아동·장애인·치매환자 등 실종취약계층 보호와 사회복지사 복지 향상을 위한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있다고 28일 밝혔다.

교보생명은 최근 서울경찰청과 실종예방 사전등록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맺고 사회 안전망 강화에 나섰다. 협약에 따라 어린이·치매보험 가입자는 실종예방 지문 등 사전등록을 완료하면 매달 1.0~1.5%의 보험료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실종예방 사전등록은 대상자의 지문·사진·보호자 연락처 등을 미리 등록해 실종발생 시 평균 90시간 걸리던 발견시간을 약 1시간 내외로 단축할 수 있는 핵심 안전망 제도다.

교보생명은 사전등록 확대를 위해 재무설계사(FP) 조직 중심의 현장 안내 체계를 강화한다. 다음달 전국 전속 FP에게 안내전단지 8만부를 배포해 고객 방문 및 상담 과정에서 관련 절차를 상세히 안내하도록 한다.

교보생명은 지난 7월 한국사회복지사협회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전국 10만명의 사회복지사를 위한 금융·헬스케어·교육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다. 교보생명은 사회복지사 복지 향상이 지역사회의 돌봄 수준과 안전망 강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보고 있다.


주요 제공 서비스로는 ▲법정의무교육 및 CS교육(다윈서비스) ▲노후준비·재무설계 세미나 ▲교보문고·핫트랙스 할인 ▲ 비대면 의료상담 및 병원예약 연계 서비스 등이 있다. 보험료 할인은 최대 1.5%까지 적용된다.

교보생명은 2002년 창단한 교보다솜을 중심으로 보호아동 성장지원 '꿈도깨비 프로젝트', 청각장애 아동 지원 '와우 다솜이 소리빛', 교보생명컵 꿈나무체육대회 등 사회적 약자·미래세대를 위한 활동을 꾸준히 펼쳐왔다. 단순 이익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책임을 함께 수행해야 한다는 교보생명의 경영철학을 반영한 것이다.

교보생명 관계자는 "실종취약계층 보호와 사회복지사 지원은 지역사회의 안전·돌봄체계를 강화하는 데 매우 중요한 과제"라며 "앞으로도 사회 안전망 구축에 기여할 수 있는 기업 시민으로서의 역할을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