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투자은행인 JP모간이 코스피가 최대 6000포인트에 도달할 수 있다고 28일 전망했다. 사진은 미국 뉴욕의 JP모간 파이낸셜센터. /사진=머니투데이

글로벌 투자은행인 JP모간이 코스피가 최대 6000포인트에 도달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한국 증시의 구조적 재평가 기대감을 반영한 것으로 기본 시나리오로도 5000포인트를 제시했다.

JP모간은 28일 2026년 아시아 주식시장 전망 보고서에서 한국을 홍콩과 중국, 인도와 함께 '비중 확대' 국가로 설정했다. 나머지 아세안(ASEAN) 국가에는 비중 축소를 권고했다.


보고서는 "우리는 한국 시장의 상승 여력은 과거에도 지금도 매우 크다고 강조한 바 있다"면서 "한국의 주가 수준은 여전히 저평가 상태"라고 적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코스피의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은 약 9.2배로 아시아 평균 14.1배 대비 여전히 저평가 상태다. 주가순자산비율(PBR) 역시 1.2배로 낮은 수준이다.

이를 바탕으로 JP모간이 제시한 코스피의 내년 지수 폭은 기본 5000을 바탕으로 강세를 띄었을 때 6000을 약세 시에는 4000을 제시했다.
이러한 근거의 핵심은 정부의 증시 밸류업 프로그램과 기업 지배구조 개선이다. 기업의 배당 확대와 자사주 소각, 지주사 할인 축소를 유도하는 정부 정책이 코스피의 재평가를 유도한다는 것이다.


2026년도 코스피의 이익 전망도 낙관론을 지지한다. JP모간은 한국 기업의 2025년 주당순이익(EPS) 증가율은 9.6%이며 2026년도 증가율은 37%로 전망된다며 상승을 예상했다. 이는 아시아 국가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최선호주로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제시했다. 글로벌 메모리 업황의 본격적 슈퍼 사이클을 예상한 결과다. 이에 더해 AI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확대와 글로벌 전력망 노후화가 맞물리며 HD현대일렉트릭 등 전력기기주의 성장도 긍정적으로 전망했다.

최근 확대되는 방산 수출과 관련해서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을 중장기적 수혜 업종으로 제시했다. 유럽뿐만 아니라 중동 등으로 수출 다변화가 본격화된다는 것이다.

에너지 저장장치 수요 확대에 따라서는 LG에너지솔루션과 LG화학이 수혜를 볼 것이라 봤다. 주주환원과 자산건전성 매력 측면에서는 KB금융지주와 신한지주도 긍정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