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동산 시장을 바라보는 주택사업자들의 전망이 다소 개선됐다. 규제지역과 분양가 상한제 적용지역 해제, 중도금 대출 보증 분양가 상한 과 특별공급 분양가 기준 폐지 등 침체에 빠진 시장을 되살리려는 정부의 각종 대책이 이달부터 효과를 보인 것으로 분석된다.
22일 주택산업연구원이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지난달 대비 이달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가 전국 5.5포인트(p)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은 11.2포인트 상승했다. 이 중 서울은 24.2포인트(64.0→88.2)로 크게 오른 반면 인천과 경기는 각각 2.7포인트(61.1→63.8), 6.6포인트(64.5→71.1)로 상승폭이 작았다.
조강현 주산연 연구원은 "최근 은행권 금리인하 움직임과 부동산 시장 연착륙을 위한 정부의 규제 완화 정책을 다수의 주택사업자들이 적극적으로 시행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며 "이를 통한 실질적 거래량이 늘고 주택건설사업 불안정성 완화에 대한 기대감이 생기면서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고 전했다.
같은 기간 지방은 평균 4.2포인트(68.6→72.8) 상승했다. 전국 대부분의 지역에서 사업경기전망이 개선되고 있음에도 울산(?7.4) 강원(?5.8) 대전(-3.9)은 하락했다. 지난달 강원과 대전, 울산의 지수가 20.5포인트, 18.1포인트, 17.6포인트씩 크게 상승함에 따라 조정심리가 작용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주산연의 설명이다.
이달 자금조달지수는 전월(72.9)보다 5.6포인트 오른 78.5를 기록했다. 조 연구원은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에 대한 자금지원과 보증규모 확대 등 적극적인 부동산 금융경색 완화조치와 부동산시장 연착륙을 위한 규제완화 정책이 선제적으로 시행됐기 때문"이라며 "다만 최근 미국 SVB 파산과 3월 기준금리 인상 등으로 국내 금융시장이 타격을 받을 경우 추후 자금조달지수는 다소 악화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3월 자재수급지수는 전월 86.5에서 이달 88.4로 1.9포인트 개선됐다. 유가 하락과 부분적인 원자재 공급망 정상화, 신구발주 감소 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