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시장에서 퇴출 압박을 받는 틱톡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측근을 로비스트로 데려오며 로비활동에 나섰다. /사진=로이터
미국 시장에서 퇴출 압박을 받는 틱톡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측근을 로비스트로 데려오며 로비활동에 나섰다. /사진=로이터

미국 시장에서 퇴출 압박을 받는 중국 틱톡이 최근 조 바이든 대통령의 측근을 연이어 고용하고 있다. 미국 정치권에서 틱톡 사용을 전면 금지하는 입법을 추진하자 적극적인 로비활동을 펼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25일 의회 전문지 더힐에 따르면 틱톡은 로비스트 안키트 데사이와 계약을 체결했다고 미 상원에 관련 서류를 제출했다.


안키트 데사이는 바이든 대통령이 상원 의원이던 2005년, 입법 보조원으로 있었다. 일한 기간은 약 10개월이다. 틱톡 측은 "인터넷 기술 및 콘텐츠 플랫폼 규제 관련 이슈에 대한 로비를 위해 고용했다"고 기재한 것으로 전해진다.

앞서 틱톡은 이달 초 정치 컨설팅 회사 SKDK와도 계약을 체결했다. SKDK는 바이든 대통령 당선의 숨은 공신으로 알려진 어니타 던 백악관 선임고문이 설립에 함께한 회사다. 바이든 정부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지난해 11월 틱톡은 자말 브라운 전 국방부 수석부대변인을 고용했다. 브라운 전 대변인은 바이든 대통령의 대선후보 시절 언론비서관이었다. 현재는 틱톡의 미국 내 정책 커뮤니케이션 관리 담당으로 재직 중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틱톡 모회사인 바이트댄스는 2019년부터 미국에서 로비를 시작해 지난해 말까지 로비에 쓴 비용은 1350만달러(약 175억3000만원)로 추산된다.

WSJ은 미국 정치권에서 틱톡 사용을 전면 금지하는 입법을 추진하면서 적극적인 로비로 대응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앞서 백악관은 이달 초 상원에서 틱톡처럼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되는 외국 정보통신기술이 미국에서 사업하는 것을 막을 권한을 행정부에 부여하는 법안이 발의되자 환영의 논평을 냈다.

틱톡은 최근 전 세계에서 전방위적인 압박을 받고 있다. 지난 1일 유럽 의회는 제3자의 데이터 보호 및 데이터 수집과 관련해 사이버 보안을 이유로 다른 기관과 연계해 다음 달 20일부터 기기에서 틱톡 사용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고 전했다.

지난달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는 사이버 보안 문제를 이유로 공식 기기에서 틱톡을 금지한다고 발표했다. 같은 달 백악관 예산관리국(OMB)이 모든 정부기관에 장비와 시스템에서 30일 내 틱톡을 삭제할 것을 요구하기도 했다. 캐나다와 일본 정부 역시 보안을 이유로 틱톡을 금지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