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간 일본군 위안부 협상 당시 일본이 위안부 지원 재단에 10억엔을 출연하기로 한 것은 소녀상 이전이 전제였다고 아사히신문이 30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일본은 지난 28일 협상 당시 한국이 설립하는 위안부 피해자 지원 재단에 일본 정부 예산으로 10억엔을 출연하는 조건으로 서울 일본 대사관 앞에 설치된 위안부를 상징하는 소녀상의 이전을 주장했다.
이 때 일본은 한국에서도 소녀상 이전과 관련해 비공식적으로 합의한 것으로 판단했으며 이것이 협상 합의의 결정적 요인 중 하나가 됐다고 신문은 전했다.
복수의 일본 정부 관계자는 신문에 소녀상을 이전하는 것이 10억엔 출연의 전제가 되는 것을 한국과 내부적으로 확인하고 있다고 밝혔다.
요미우리신문도 한국 정부가 협상 당시 소녀상 조기 철거에 적극 나설 생각을 보였다고 전했다. 일본 고위 관계자는 신문에 당시 일본 정부가 소녀상을 가능한 조기에 철거하라고 요구했으며 한국 정부도 적극적으로 나설 생각을 나타냈다고 밝혔다. 당시 일본 측은 한국 정부가 설립하는 재단에 약 10억엔을 출연하기 전 소녀상을 철거할 것을 요청했다. 관계자는 이같은 요청에 한국 정부도 이해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윤 장관은 협상 합의 후 기자회견에서 한국 정부는 일본 정부가 주한일본대사관 앞의 소녀상에 대해 공관의 안녕 및 위엄의 유지라는 관점에서 우려하고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가능한 대응방향에 대해 관련 단체와의 협의 등을 통해 적절히 해결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소녀상 문제와 관련해 해결 의지를 보였으나 이전이나 철거를 정확히 언급한 것은 아니었다.
이에 대해 기시다 외무상은 협상 후 기자들과 만나 소녀상에 대해 "적절한 이전이 있을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며 이전이 확실시된 것처럼 말해 논란이 됐다.
요미우리는 일본 정부가 소녀상의 철거가 진행되지 않은 채 10억엔을 출자할 경우 협상 합의에 대한 일본 내 반발이 확산될 것으로 보고 있어 소녀상 철거를 위한 한국의 움직임을 주시할 생각이라고도 전했다.
한편, 일본과 달리 독일은 피해자에 대한 보상과 책임자에 대한 법적 처벌, 그리고 현대사 역사 교육을 추진하는 등 스스로 잘못을 인정하는 상반된 모습을 보여 자주 비교됐다. 이번 위안부 협상에 대한 뒷말 역시 독일의 끊임없는 역사 반성과는 달리 비겁한 모습으로 국제 사회에 내비쳐지게 될지 앞으로의 귀추가 주목된다.
![]() |
'소녀상' /사진=임한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