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한금융그룹은 경기도 기흥에 위치한 신한은행 연수원에서 지난 6일과 7일 이틀에 걸쳐 '2017년 신한경영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초청강연을 마치고 한동우 회장 및 그룹 CEO들이 강연자로 나선 성균관대 최재붕 교수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왼쪽부터 강대석 신한금융투자 사장, 조용병 신한은행 행장, 최재붕 성균관대 교수, 한동우 회장, 위성호 신한카드 사장, 이병찬 신한생명 사장) |
차기 회장 선임 작업에 돌입한 신한금융그룹이 경영리더가 갖춰야 할 구체적인 자격과 역할 등을 제시했다.
신한금융그룹은 지난 6~7일 경기 기흥시에 위치한 신한은행 연수원에서 한동우 회장을 비롯한 전 그룹사 최고경영자(CEO) 및 경영진, 부서장 등 57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017년도 신한경영포럼'을 열었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그룹의 중기 6대 핵심과제에 '창의성'과 '속도감'을 더한 올해 전략방향을 주제로 토론과 발표 형식의 프로그램 등으로 진행됐다.
포럼에서 한 회장은 강연을 통해 "기업은 올바른 경영이념과 가치관을 바탕으로 좀 더 높은 차원의 목적을 추구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이를 위해 필요한 리더의 자격과 역할인 '경영리더상'을 발표했다.
그는 "경영리더상은 단순히 만드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신한의 리더를 평가하고 육성하며 선발하는 기준이 될 것"이라며 "신한의 기업문화에 내재화돼 지속가능경영의 기반이 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영리더상은 저성장, 디지털 경쟁 격화 등 금융시장의 패러다임이 급변하는 상황에서 신한의 경영진이 새로운 환경에서 앞서가기 위해 어떤 요건을 갖춰야 하는지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재정의한 것이다. 이는 ▲신한문화의 전도자 ▲고객가치의 창조자 ▲열린 협력을 촉진하는 동반자 ▲변화의 선도자 ▲지속가능 성과를 창출하는 사업가 ▲미래 인재의 육성가 등 6가지 롤모델로 구성됐다.
특히 통합적 시각으로 새로운 사업기회를 발굴하고 선제적 리스크 관리를 통해 지속가능한 성과를 달성해야 하며 그룹 전체의 관점에서 금융뿐만 아니라 비금융 영역까지 아우르는 통합적인 시각이 필요하다는 항목도 제시했다. 또 새로운 것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그에 맞는 인재를 미리 육성해야 하며 적합한 인재가 없으면 외부 인재를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한편 한 회장은 앞서 신년사를 통해 급격하게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변화의 본질을 먼저 보고, 한발 앞서 방향을 결정하고 이를 신속하게 실행하는 '선견(先見), 선결(先決), 선행(先行)'의 경영이 필요하다고 강조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