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적십자사 총재 겸 성주그룹 오너인 김성주 회장이 새정부 출범부터 잇단 악재를 만났다. 브랜드 성장 부진으로 지난해 저조한 실적을 낸 데 이어 최근 협력업체 갑질 논란의 주인공이 되는 등 그야말로 내우외환에 휘말린 형국이다.

업계에 따르면 에스제이와이코리아, 원진콜렉션 등 성주디앤디 하청업체들은 지난 3월 MCM 생산업체 성주디앤디를 공정거래위원회에 신고했다. 성주디앤디의 단가 후려치기와 반품 떠넘기기 등 불공정거래 행위로 피해를 입었다는 것.


하청업체는 성주디앤디가 2005년 마진 지불 방식을 ‘정액제’로 변경한 뒤, 3개월 시범 시행 약속을 지키지 않고 12년째 정액방식을 유지해 착취를 이어왔다고 주장한다. 원가와 제품가격, 공정비 등이 모두 올랐음에도 하청업체에 돌아가는 수익은 제자리에 머물고 있다는 것.

이들은 또 성주디앤디가 샘플 제작비와 운송비도 지급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하청업체의 귀책사유가 없는 반품의 책임도 하청업체에 전가했다고 성토한다. 결국 이들 하청업체는 회사 운영에 어려움을 겪다 지난해 최종 부도처리됐다.

MCM 측은 법 위반 행위를 통해 이익을 얻거나 잘못한 점이 확인될 경우 책임을 회피할 의사가 전혀 없다는 입장이다. MCM 관계자는 "이번 분쟁을 주도하고 있는 K대표와 여러차례 면담을 가졌으나, 수십억원의 돈을 요구하며 이를 지급하지 않으면 언론사에 제보하겠다고 말해 지금과 같은 상황에 이르렀다"며 "공정위에서 적법한 절차에 따라 공정한 조사와 판단이 내려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성주 성주그룹 회장. /사진=뉴스1 추연화 기자
김성주 성주그룹 회장. /사진=뉴스1 추연화 기자

갑질 논란에 불똥이 튄 건 김 회장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최측근인 ‘친박인사’로 분류되는 그는 새정부 출범 이후 언론 노출을 최대한 자제하는 등 불필요한 논란에 휘말리지 않으려는 듯 조용한 행보를 보여왔다. 하지만 최근 불거진 갑질 이슈는 그가 평소 강조해온 패션산업 상생과 정면으로 배치된다. 
공정위 조사를 통해 사건의 시시비비가 가려지겠지만 지난해 부진한 실적에 이어 갑질 논란에 따른 이미지 추락까지 맞물리면서 김 회장의 경영능력도 도마에 올랐다. 오는 10월7일 임기가 끝나는 대한적십자사 총재직도 불안하기만 하다.


☞ 본 기사는 <머니S>(www.moneys.news) 제491호에 실린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