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지하철 9호선 신반포역 인근 아파트값이 3.3㎡당 평균 5993만원으로 나타나 서울 역세권 아파트 값 가운데 가장 비싼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은 신반포역 앞에 위치한 래미안퍼스티지. /사진=김창성 기자 |
12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안호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전북 완주군진안군무주군장수군)과 한국도시연구소는 국토부 실거래가 자료를 바탕으로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서울지역 주거비 변화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지리정보시스템(GIS)를 통해 서울시 지하철 역세권(지하철 역으로부터 반경 500m 이하)에 위치한 아파트 값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올 상반기 아파트의 3.3㎡당 매매가가 가장 비싼 역세권은 ▲신반포역(5993만원)으로 나타났다.
이어 ▲구반포역(5707만원) ▲압구정 로데오역(5603만원) ▲봉은사역(5519만원) ▲압구정역(5470만원)이 뒤를 이었다. 특히 역세권 아파트 매매가가 비싼 상위 10위는 모두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에 위치했다.
지난 2015년부터 3년 동안 아파트 매매가 상승률이 가장 높은 지하철 역세권은 ▲신정네거리역(78.5%) ▲삼성역(75.6%) ▲동대입구역(69.2%) ▲애오개역(54.6%) ▲아현역(51.6%) 순으로 조사됐다.
상반기 기준 3.3㎡당 아파트 전세가가 비싼 서울 지하철 역세권은 ▲사평역(3514만원) ▲한티역(3476만원) ▲도곡역(3281만원) ▲잠실새내역(3251만원) ▲종합운동장역(3230만원) 순으로 나타났다. 전세가 상위 10위 역세권도 모두 강남3구가 휩쓸었다.
지난 3년 동안 아파트 전세가 상승률이 높은 지하철 역세권은 ▲한성대입구역(73.5%) ▲아현역(71.6%) ▲서대문역(59.0%) ▲연신내역(55.3%) ▲삼성중앙역(54.1%) 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