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개혁위

노무현 전 대통령의 '논두렁 시계 보도'를 국정원이 조장했다는 의혹과 관련, 국정원 개혁위원회가 23일 국정원이 언론플레이를 지시하거나 실행한 사실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논두렁 시계’ 보도는 노무현 전 대통령이 퇴임 후 뇌물수수 의혹 등으로 조사를 받는 과정에서 나온 보도로, 당시 노무현 대통령 일가가 고급 시계를 논두렁에 버렸다는 등 확인되지 않은 사실을 검찰이 일부러 언론에 흘렸다는 논란이 불거졌다. 특히 이인규 전 중수부장이 지난 2015년 이같은 '언론플레이'를 검찰이 아닌 국정원이 했다고 주장해 파문이 일었다.

다만 개혁위는 원세훈 전 국정원장이 2009년4월 노 전 대통령에 대한 검찰 수사가 본격화되자 부서장 회의에서 국정 부담을 이유로 '불구속 수사' 의견을 수시로 표출했고, 원 전 원장의 측근이던 한 간부가 2009년 4월21일 이인규 당시 대검 중수부장을 만나 '불구속 수사' 의견을 전달한 사실을 확인했다.


개혁위에 따르면, 이 간부는 이인규 전 중수부장에게 "고가시계 수수 건 등은 중요한 사안이 아니므로 언론에 흘려서 적당히 망신주는 선에서 활용하시고, 수사는 불구속으로 하는 것이 맞는 것 같다"고 언급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와 관련, 이 전 중수부장은 지난 7월10일 조사관과의 전화통화에서 ‘논두렁 시계’ 보도 등에 대해 "지금 밝히면 다칠 사람이 많다"며 구체적인 진술을 거부했다고 개혁위는 밝혔다.

또 원 전 원장의 '노무현 전 대통령의 이중적 행태를 부각하라'는 방침에 따라 국정원의 언론 담당 정보관은 방송사에 노 전 대통령 수사상황을 적극적으로 보도해줄 것을 요청한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개혁위는 국정원이 당시 언론플레이를 구체적으로 지시하거나 실행한 의혹에 대해서는 해당 수사기록을 열람하지 못했고, 직권남용 소지도 공소시효가 만료돼 처벌이 어렵다는 결론을 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