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명절 연휴 첫날인 2월 11일 북한산 백운대에서 국립공원 직원들과 산악안전봉사단원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거리두기 캠페인을 하고 있다.(북한산국립공원 산악안전봉사단 제공) 2021.2.11/뉴스1
설 명절 연휴 첫날인 2월 11일 북한산 백운대에서 국립공원 직원들과 산악안전봉사단원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거리두기 캠페인을 하고 있다.(북한산국립공원 산악안전봉사단 제공) 2021.2.11/뉴스1

(서울=뉴스1) 허고운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로 실내활동 대신 산행을 선택한 시민들이 늘어나면서 산악사고도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요일에 북한산을 찾는 50대 등산객의 사고가 가장 많았다.
31일 서울시 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산악 구조활동은 1745건으로 2019년의 1312건보다 약 33%(433건) 급증했다. 2018년에는 1332건이었다.

구조인원은 2018년 966명에서 2019년 887명으로 감소했다 2020년 1090명으로 늘었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인한 산행 인구의 증가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


최근 3년간 산악사고 구조활동 4389건 중 유형별로는 실족·추락이 가장 많은 1068건을 차지했다. 일반조난 659건, 개인질환 238건 등이 뒤를 이었다.

산악사고가 가장 많은 곳은 북한산으로 전체의 25.6%에 해당하는 1124건이 발생했다. 북한산 구조활동 건수는 2018년 347건, 2019년 373건, 2020년 404건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북한산 다음으로 사고가 많은 산은 관악산 659건, 도봉산 447건, 수락산 159건, 불암산 123건, 청계산 50건 등이었다.


최근 3년간 산악사고에서 구조된 인원은 2943명으로, 요일별로는 일요일이 820명으로 가장 많았다. 토요일은 705명으로 구조인원 51.8%는 주말에 발생했다.

연령대별로는 50대가 828명으로 가장 많았고 60대 577명, 40대 379명, 20대 360명, 70대 293명 등의 순이었다. 50대와 60대가 전체 구조인원의 47.7%를 차지했다.

최근 3년간 소방헬기가 출동한 산악사고는 총 708건으로 연평균 236건 출동해 202명을 구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산행 인구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4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봄철 산악사고 인명구조 종합대책'을 추진한다.

우선 북한산 등 10개산 50개소의 응급구조함에 응급약품을 보충하고 20개산 566개소의 산악위치표지판을 정비해 봄철 본격적인 산행 인구 증가에 대비한다.

또 조난이나 낙석 등으로 인한 사고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드론을 이용한 산악구조훈련을 실시하고, 주말과 공휴일에는 주요 등산로 입구에서 산악사고 예방 및 사고시 대처요령 안내 캠페인을 한다.

최태영 서울소방재난본부장은 "코로나19로 도심에서 가까운 산을 찾는 시민이 늘어나고 있다"며 "시민들의 안전한 봄철 산행을 위해 산악안전대책 추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