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북도교육청 산하 공무원이 협력업체에 수십만원대 회식비를 사실상 강요했다는 의혹이 제기돼 논란이 일고 있다.
21일 <머니S> 취재에 따르면 경북교육청 산하 남부미래교육관 소속 직원들이 자신들의 회식비 대납을 강요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지난 2023년 해당 교육관이 발주한 '보드게임 축제' 부스 설치 용역을 수주한 A업체는 이후 교육관 소속 공무원 B씨로부터 회식비 명목의 현금 지원을 요구받았다고 밝혔다.
업체 측이 현금 지급을 거절하자 B씨는 회식 자리에 업체 관계자를 불러 카드 결제를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A업체는 B씨의 연락을 받고 대구 수성구의 한 복어 전문점에서 열린 회식 현장에서 50만원 상당의 식사비를 대신 결제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교육행정의 도덕성에 대한 비판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한 행사업계 관계자는 "발주처에서 회식비를 요구한 것은 표현이 어떻든 사실상 갈취"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논란이 확산되자 남부미래교육관 센터장은 "해당 직원이 회식비 강요는 없었다고 부인하고 있어 별도 감사는 계획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그러나 '제 식구 감싸기'라는 비판이 제기되자 교육관 측은 뒤늦게 재조사와 형사 고발 여부를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이와 함께 남부미래교육관이 특정 업체에 반복적으로 일감을 몰아줬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문제의 업체는 수학 전문 교재를 공급하는 곳으로 교육청 퇴직 공무원이 설립한 것으로 알려져 '관피아' 논란으로 번질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교육청에서 명예퇴직한 후 관련 납품업체로 이직하는 사례가 이어지고 있으며 이들은 법적 제재를 피하기 위해 2차 납품업체에 취업하는 편법까지 활용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공정 경쟁이 무너지고 선량한 중소업체들이 피해를 입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번 사건은 임종식 경북교육감이 뇌물수수 혐의로 1심에서 징역 2년6개월을 선고받은 가운데 불거져 공무원 사회 전반에 대한 불신을 더욱 증폭시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