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대 증원 정책 '원점 재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의과대학생과 의학전문대학원생이 99%에 육박한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의대협)는 지난 13일부터 17일까지 휴학계 제출·수업 거부 현황과 인식에 대한 조사를 진행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0일 밝혔다.
의대협에 따르면 의대생과 의학전문대학원생을 합한 인원은 모두 1만8348명이다. 이 중 설문조사에 참여한 인원은 80%에 해당하는 1만4676명이다.
응답자의 98.81%는 의대 증원 정책에 대해 '전면백지화 이후 원점 재논의'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정부가 의대 증원 정책과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를 시행하면 필수의료과에 지원할 의사가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그렇다' '매우 그렇다'를 합해 8.28%였다. 의대 증원 정책 이전에는 70.12%가 필수의료과 지원 의사가 있었다고 답했다.
정부의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에 '매우 반대'하는 비율은 80.39%였다. 해당 정책에 반대하는 이들은 그 이유로 '정부가 의료시스템의 복잡성과 유기성을 고려하지 않고 원인을 잘못 진단했다' '문제 해결에 필요한 방향을 빗나갔거나 기대효과를 과장했다' 등을 골랐다.
지난 13일 기준 휴학계를 제출하거나 수업을 거부하고 있다고 밝힌 응답자는 98.73%다. 대부분 의대는 학칙상 1학년 1학기 휴학이 불가능하다. 이에 학생들은 휴학계 제출 외에도 수업 거부를 통해 항의의 뜻을 드러내고 있다.
앞서 지난달 21일 교육부는 유효 휴학 신청 건수가 전국 의대 재학생의 56.5% 수준이라고 밝혔다. 유효 휴학은 학칙상 요건에 부합하고 절차를 갖춘 휴학이다.
휴학계 최종 수리를 거부하는 학교와 교육부의 압박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엔 64.03%의 응답자가 '매우 부정적', 25.1%는 '부정적'이라고 답했다.
의대협은 "중증 의료 환경 개선은커녕 해당 정책으로 인해 국내 중증 의료가 회복 불가한 타격을 입을 수도 있다"며 "의료계 현장의 의견이 실질적으로 반영되는 깊이 있는 논의가 원점에서부터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