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선 국면에서 단일화 논의가 본격화됐지만 국민의힘 지지율은 하락했다. 김문수·한덕수 두 후보 간 단일화 적합도조차 확실한 우위를 점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단일화 구도'가 정당 지지율 반등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오히려 역풍을 낳고 있다는 분석이다.
9일 에이스리서치가 뉴시스 의뢰로 지난 6~7일 실시한 전국 성인 1000명 대상 여론조사(신뢰수준 95%, 표본오차 ±3.1%)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의 지지도는 48.6%로 직전 대비 5.9%p 상승한 반면, 국민의힘은 32.2%로 6.0%p 하락했다. '스윙보터' 무당층 비율은 10.2%다.
지지율 반등을 위한 단일화라는 '정치적 연출'이 오히려 역효과를 낸 셈이다. 에이스리서치는 국민의힘 경선 이후 김 후보와 한 후보 간 벌어진 단일화 갈등이 컨벤션 효과나 상승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지 못한 것이 지지율 하락의 주요 요인으로 분석했다.
단일화 적합도 조사에서도 확실한 우위를 점한 후보도 없다. 같은 조사에서 '김문수와 한덕수 중 누가 단일후보로 적합한가'라는 질문에 두 후보 모두 27.1%로 동률을 기록했다. 지지 후보가 없거나 모르겠다는 응답층은 45.7%에 달했다. 단일화 구도 자체가 유권자에게 지지받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다.
이론상 김 후보는 공직선거법에 따라 아직 본후보로 등록하지 않았기 때문에 당 지도부가 공직선거법상 등록에 필요한 '정당 추천서' 발급을 거부하거나 후보자 지위를 박탈하는 절차를 통해 등록 자체를 막을 여지가 있다.
다만 실제 그 수단을 쓸 경우 정당 전체가 입게 될 정치적·법적 타격이 더 크다. 경선에서 확정된 후보에게 공천을 주지 않거나 등록을 방해한 행위에 대해 '정당의 자율권을 넘어선 위법한 조치'라고 판단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행위가 정당법 등에 어긋난다고 해석될 시 법적 시비도 벌어질 수 있다.
당 지도부는 9일 의원총회를 소집해 김 후보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지만 실질적인 합의나 돌파구는 마련되지 못한 상태다.
한편 이번 여론조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무선 RDD 표집 틀에 ARS(무선 100%) 방식으로 실시됐다. 응답률은 4.6%,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