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8월에는 평년에 비해 더 더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사진은 서울의 낮기온이 37도까지 오르며 폭염이 지속되고 있는 지난 29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마포대교 남단에서 시민들이 휴식을 취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시스

올해 7월 전국 최고 기온이 평균 31.8도를 기록하며 1994년 이후 역대 두 번째로 높았던 가운데, 오는 8월에도 평년에 비해 더 더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지난 29일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출연한 김백민 부경대 환경대기과학과 교수는 "이 정도 더위를 경험한 게 처음이다. 아직 무시무시한 더위가 더 남아 있다는 게 참 죄송스러울 따름"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8월 초 잠시 더위가 소강상태를 보이다가 더 강력한 폭염이 시작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 교수는 2018년 강원도 홍천에서 기록된 국내 최고 기온 41도가 오는 8월 깨질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아직은 관측 사상 가장 더웠던 1994년, 2018년 기록 경신에는 근소한 차이로 실패하고 있다"면서도 "무서운 건 그때 기록 대부분이 절기상 가장 더운 8월에 기록된 것이다. 그런데 아직 7월이다. 이 추세로 가면 올해 8월 이 기록이 깨질 수 있을 것으로 본다"라고 밝혔다.

폭염의 원인으로는 북태평양 고기압과 티베트 고기압의 복합적인 영향이 지목됐다. 김 교수는 "북태평양 고기압과 티베트 고기압이 한반도에서 계속 자주 출몰할 수 있는 조건이 만들어지고 있어 (폭염은)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앞으로도 계속 나타날 수밖에 없는 현상"이라며 "기후과학자들이 보기에는 이 정도 수준의 더위가 앞으로 지속되는 것은 거의 기정사실"이라고 전했다.

김 교수는 폭우 역시 기후 변화의 연장선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폭염과 폭우는 함께 가는 메커니즘"이라며 "지구 스스로 더위를 식히려고 자정 작용의 일환으로 폭우가 발생할 수 있다. 기후 변화에서 가장 우리가 주의해야 할 건 극단의 날씨 변동성이 확대된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기상청이 발표한 3개월 전망을 보면 오는 8월은 열대 서태평양의 높은 해수면 온도와 봄철 유럽의 적은 눈덮임으로 인해 한반도 부근에 고기압성 순환이 강화돼 기온이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8월 한 달 동안 평년(1990~2020년)보다 기온이 높을 가능성은 50%, 비슷할 가능성은 30%, 낮을 가능성은 20%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