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LG디스플레이가 사업 전 영역에 AI를 적용하는 AX(AI 전환)를 통해 생산성 혁신에 나선다.
LG디스플레이는 올해를 AX 혁신의 원년으로 삼고, 모든 사업 영역에 자체 개발한 AI를 적용 중이라고 5일 밝혔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산업의 핵심 경쟁력인 적기 개발·수율·원가 등에서 생산성을 극대화해 차별화된 경쟁 우위를 확보할 방침이다.
LG디스플레이는 AX 일환으로 제품 개발 단계부터 AI가 최적화된 설계 도면을 제안하는 '설계 AI'를 도입한다. 첫 단계로 지난 6월 이형 디스플레이 패널 '엣지(EDGE) 설계 AI 알고리즘' 개발을 완료했다. AI가 패널 엣지 부분에서 곡면이나 좁은 베젤에 필요한 패턴을 자동으로 설계하는 방식이다. 오류는 현저히 줄고 소요 시간도 8시간으로 대폭 감소했다.
독자 개발한 'AI 생산 체계'는 OLED 제조 공정에 특화됐다. AI는 OLED 제조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수많은 이상 원인의 경우의 수를 자동 분석하고 솔루션까지 제안한다. AI 도입으로 데이터 분석 능력은 무한대로 확장됐고, 분석 속도와 정확도까지 획기적으로 향상됐다. 품질 개선에 걸리던 시간은 평균 3주에서 2일로 크게 단축됐다.
사무직 직원들의 업무 생산성 혁신을 위해 자체 개발한AI 어시스턴트 '하이디'(HI-D)도 적용한다. 현재 '하이디'는 AI 지식 검색, 화상회의 실시간 번역·회의록 작성·메일 AI 요약 및 초안 작성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LG디스플레이만의 특화 기능인 '하이디 서치'(SEARCH)는 사내 문서 약 200만건을 학습해 업무 관련 질문에 최적의 답변을 제시한다. 하이디 도입으로 하루 평균 업무 생산성이 이전 대비 약 10% 향상됐다는 평가다.
실제로 LG디스플레이는 지난해 AI 생산 체계를 도입한 이후 생산성을 지속적으로 향상시켜왔다. 약 2000억원 이상의 수익성 개선 효과를 냈고, AI 어시스턴트 시스템을 자체 구축해 외부 설루션 도입 대비 비용도 100억원 이상 절감했다.
향후에는 강화된 AX를 기반으로 3년 이내에 업무 생산성을 30% 높이겠단 목표다. AX 혁신 가속화를 통해 OLED 중심 사업구조를 강화하고, 원가와 수익성을 개선하는 전략이다.
정철동 LG디스플레이 CEO는 "AX를 전사로 확대 적용하면서 체질 개선·원가 혁신·수익성 개선 등의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며 "전사 차원의 AX 혁신을 추진해 사업의 근본 경쟁력을 높이고 LG디스플레이만의 차별적 고객가치를 제시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