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전 대통령경호처장) 측이 오는 6일로 예정된 순직해병특검팀(특별검사 이명현) 참고인 조사에 불참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5일 뉴스1에 따르면 김 전 장관 측은 이날 오후 언론 공지를 통해 "해병특검으로부터 6일 오전 10시 출석을 오늘(5일) 받았다"면서 "하루 전에 통보 받은 일정으로 변호인 조력권을 행사할 수 없는 사정이 있어 출석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어 김 전 장관 측은 특검팀을 향해 "수감돼 있는 자에 대한 통상의 수사 방법대로 구치소에서 수사 접견할 것을 요청하며 변호인과의 일정 조율을 선행할 것을 요청한다"고 덧붙였다.
정민영 특별검사보는 지난 4일 정례브리핑에서 오는 6일로 예정된 김 전 장관 조사와 관련해 "김 전 장관은 당시 회의에서 윤 전 대통령에게 보고된 내용과 지시 사항, 이후 사건 회수 등 후속 조치와 관련해 전반적인 조사를 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특검팀은 서울동부지검 조사실에서 김 전 장관을 불러 조사할 계획이었다.
윤 전 대통령은 2023년 7월31일 대통령 주재 국가안보실 회의에서 임기훈 전 국방비서관으로부터 해병대원 순직사건 초동수사 결과를 보고 받고 격노해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에게 내선전화로 전화를 거는 등 수사외압을 행사한 의혹을 받고 있다.
특검팀이 특정한 당시 회의참석자는 윤 전 대통령, 김 전 장관, 조태용 전 국가안보실장, 김태효 전 안보실 1차장, 임 전 비서관, 왕윤종 전 경제안보비서관, 이충면 전 외교비서관 등 총 7명이다.
이 전 장관은 대통령 통화 이후 박진희 전 군사보좌관 휴대전화로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에게 전화를 걸어 사건의 경찰 이첩을 보류하도록 지시하고 당일 예정된 국회 및 언론 브리핑도 함께 취소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