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 9월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센터 화재로 중단된 정부 전상망 복구를 11월 셋째주까지 완료할 방침이다. 사진은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행정안전부 차관)이 31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정지원 행정정보시스템 화재 관련 중대본 회의 결과 브리핑 하는 모습. /사진=뉴스1

지난 9월 말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장애가 발생한 정부 전산망 복구율이 90%를 넘어선 가운데 정부가 모든 시스템의 연내 정상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31일 뉴스1에 따르면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국정자원 화재 관련 브리핑에서 "오전 9시 기준 전체 709개 시스템의 89%가 복구됐고 나머지 78개 시스템은 복구 작업 중"이라며 "1등급 시스템은 40개 전부, 2등급은 68개 가운데 63개가 복구돼 운영 중이다"고 밝혔다.


국민 생활과 밀접한 '국민비서도' 지난 28일 복구됐으며 복구가 안 된 2등급 시스템 5개 모두는 대체 사이트와 임시 홈페이지, 수기 집수 처리 등을 통한 대체 수단을 운영하고 있다. 정부는 대전센터 복구와 함께 대구센터로의 민간 클라우드 이전 작업도 병행 중이다. 이와 관련해 지난 21일 국무회의에서 예비비 1521억원을 확보했으며 대구센터 민간 클라우드 전환 등을 위한 예비비도 추가 확보했다.

김 차관은 "대전센터의 경우 복구 대상 시스템 693개 가운데 64개의 복구가 미완료 된 상황"이라며 "11월 3주차까지 (전체 시스템의) 정상화가 목표다. 11월 1주차에는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조사정보통합시스템과 국가보훈부 보훈통계시스템 등 31개 시스템을 추가해 95.2%를 정상화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대구 이전이 확정된 16개 시스템 가운데 행안부 대표 홈페이지 중 2개는 대구로 이전을 완료해 정상 운영 중"이라며 "11월까지 소방청과 소방 예방정보 등 10개 시스템을 복구하고 행안부 스마트워크센터 등 4개 시스템은 연내 정상화가 목표"라고 말했다. 당초 대구센터로 이전되는 시스템은 20개였으나 부처 간 민간 클라우드(PPP) 사업자 협의를 통해 16개로 최종 확정됐다.


이재용 국가정보자원관리원장은 "데이터 소실이 확인된 사례는 두 건으로 보건복지부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일부와 국민권익위원회의 국민신문고 민원 접수 데이터"라며 "복지부는 전달 과정 오류로 약 일주일 치 데이터가 손실됐지만 하루치 이내는 백업 시스템으로 복구됐고 권익위는 화재 전날 저녁 7시30분 이후 접수된 민원에 대해 재입력을 안내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전체 시스템의 64% 이상, 400개 이 백업 데이터를 통해 복구됐다"며 "하루치 데이터는 소실될 수 있는데 각 기관이 국민에게 공개하고 대체 수단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복구가 마무리되는 대로 데이터 관리 체계를 재점검하고 클라우드 기반 분산 백업 구조를 확대할 방침이다. 김 차관은 "정부는 시스템 복구와 상황 안정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불편한 상황 속에서도 대체 수단을 활용하시고 협조해 주신 국민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