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LG전자가 미국발 관세 부담과 전기차 시장의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에도 불구하고 주력인 가전과 전장 사업의 안정적인 실적을 바탕으로 3분기 선방했다. 4분기엔 글로벌 경기 둔화와 전사 희망퇴직에 따른 일회성 비용이 더해져 불확실성이 커질 전망이지만 생산지 최적화와 가격 인상 등을 통해 관세 부담에 대응할 계획이다. 인도법인 기업공개(IPO)를 통해 확보한 약 1조8000억원을 토대로 미래 먹거리 확보에 속도를 낸다.
LG전자는 31일 올해 3분기(7~9월)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6889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8.4% 감소했지만 전 분기보다 7.7% 늘며 회복세를 보였다. 매출은 21조8737억원으로 전년보다 1.4% 줄었으나 전 분기 대비 5.5% 증가하며 개선 흐름을 이어갔다. 순이익은 4610억원으로 전년과 비교해 411.1% 급증했다.
미국의 관세 부담과 전기차 캐즘 등 불확실한 대외환경 속에서도 시장의 기대치를 웃도는 실적을 견인한 것은 생활가전과 신성장동력으로 꼽히는 전장 사업이었다. 생활가전 부문은 미국 정부의 철강 파생품 관세 50% 부과로 원가 부담이 커졌음에도 불구하고 생산 거점 다변화와 프리미엄·볼륨존(중저가) '투트랙' 전략으로 악재를 상쇄했다. 전장 사업 역시 전기차 수요 둔화 우려 속에서도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사업 호조에 힘입어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가전 부문, 보편 관세 직격탄… HS사업본부 실적 방어로 한숨 돌려
|   | 
사업부별 실적을 보면 가전사업을 담당하는 HS 사업본부는 3분기 영업이익 3659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보다 3.2% 증가했다. 가전사업은 지난 4월부터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제품에 10%의 보편 관세가 부과되고 전자제품에 함유된 철강 함량에 따른 추가 관세까지 더해지며 직격탄을 맞았다.
그럼에도 HS사업본부는 효율적 원가 관리와 제품 믹스 조정으로 실적 방어에 성공하며 전년과 견줘 실적이 증가했다. LG전자는 4분기에도 글로벌 가전 시장의 수요 회복 지연과 경쟁 심화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구독형 서비스와 온라인 사업을 지속 확대하며 '질적 성장' 중심의 흐름을 유지할 계획이다.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솔루션(MS) 사업본부는 3분기 매출 4조6525억원, 영업적자 3026억원을 기록했다. 중국 업체의 저가 공세와 글로벌 경쟁 심화로 마케팅 비용이 증가한 데다 인력 선순환을 위한 희망퇴직 일회성 비용도 반영됐다.
LG전자는 이날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에서 3분기 MS본부부터 희망퇴직을 시행했으며 4분기 들어 전사 조직으로 확대해 진행 중이라고 했다. "3분기 희망퇴직 관련 반영된 비용은 약 1000억원 수준이며 4분기 희망퇴직은 절차가 진행 중이라 구체적으로 언급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전장 사업을 담당하는 VS사업본부는 3분기 매출 2조6467억원, 영업이익 1496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3분기 기준 역대 최대, 영업이익 역시 사상 최대치로 분기 영업이익률이 5%를 넘긴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냉난방공조(HVAC) 등 사업을 총괄하는 ES 사업본부 매출액은 2조1672억원, 영업이익은 1329억원을 기록했다. 최근 HVAC 투자를 확대하며 영업이익은 전년과 비교해 15% 줄었다.
LG전자, 관세 부담 속 '생산지 최적화' 추진…인도 IPO로 1.8조 확보
|   | 
3분기부터 관세 부과 여파로 부담이 가중될 전망이지만 LG전자는 생산지 최적화와 가격 인상 등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김창태 LG전자 최고재무책임자(CFO)는 "4분기에는 미국의 관세 정책 영향과 지정학적 리스크로 글로벌 수요 위축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더욱 심화된 경쟁 구도 또한 사업 운영의 부담 요소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를 극복하기 위해 글로벌 생산 체계를 기반으로 생산지 최적화와 가격 인상 등 시나리오별 대응을 추진해 관세 영향을 최소화할 계획"이라며 "선진 시장에서도 지역별 특화 전략을 통해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LG전자가 추진 중인 인도법인 IPO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회사는 IPO를 추진하며 발행주식 중 15%에 해당하는 1억181만5859주를 구주 매출로 처분해 약 1조8000억원을 확보했다. 김창태 CFO는 "확보한 자금을 과거보다 적극적으로 투자할 계획"이라며 "자금 활용 방안으로는 미래 성장동력 확보, 기존 사업 경쟁력 강화, 주주가치 제고 등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