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감독원이 스팩(SPAC) 상장 기업가치(합병가액) 고평가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제도 개선에 나섰다.
7일 금융감독원이 2010년부터 올해 8월까지 상장한 스팩 상장 기업 139개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상장 전 추정 매출액에 비해 실제 매출액이 미달하는 기업이 전체 기업 중 76%로 나타났다. 추정 영업이익에 비해 실제 영업이익이 미달한 기업은 84.1%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장 전 기업들이 추정한 매출액의 평균치는 571억원이었다. 그러나 실제 매출액 평균은 469억원으로 추정치에 비해 17.8% 미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업이익 추정치의 평균은 106억원이나 실제 영업이익 평균은 44억원으로 추정치를 58.7% 밑돌았다.
스팩상장 기업의 가치는 미래 실적을 현재 가치화한 수익가치와 최근 순자산에서 조정 항목을 가감한 자산가치를 가중평균해 산정한다. 자산가치는 재무상태표에 기반하기 때문에 객관적으로 산정되지만 수익가치는 추정된 미래 영업실적에 따라 크게 변동될 수 있다.
금감원 조사 결과 장래 영업환경 등을 지나치게 낙관적으로 전망해 영업 실적을 추정한 사례들도 있었다. A바이오 기업의 경우 B질환 등의 치료제를 개발해 1430억원의 미래 매출을 추정했다. 그러나 임상시험 등이 지연되면서 매출 발생 예정일이 1년이상 지났지만 매출은 없었다.
이를 두고 금감원은 증권사 등 스폰서와 외부평가 법인이 기업가치 고평가를 방지하는 역할을 미흡하게 수행했다고 지적했다. 평가 대신 합병 성공 및 향후 업무 수임을 우선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례를 방지하기 위해 금감원은 ▲기업공시서식 작성 기준 개정 ▲상대가치 활용도 제고 ▲외부 평가 합리성 제고 등을 위한 노력을 통해 미래 추정 객관성과 신뢰성을 높이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회계법인 평가 이력과 외부 평가 업무, 타 업무 수임 내역 등을 증권신고서 공시 항목으로 추가할 계획이다. 스팩상장기업의 영업실적 사후정보가 충분히 공시되도록 내년 1분기 중 기업공시 서식 작성 양식을 개선할 방침이다.
아울러 내년 상반기까지 유사기업(피어그룹)의 재무제표와 주가를 비교해 상대적으로 산출한 상대가치를 만들어 지금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도개선을 추진할 예정이다. 비교군을 만들어 기업가치 적정성 파악을 용이하게 하겠다는 의도다.
금감원 측은 "공시서식 작성 기준 개정, 상대가치 비교 공시 활성화 등 제도 개선을 신속히 추진할 것"이라며 "미래 영업실적의 추정근거가 충분히 기재됐는지 심사를 강화할 방침"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