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남대학교 경산캠퍼스 어린왕자(작품명·별05) 조형물에 마스크가 철거돼 긴 시간 동안 코로나19 여파로 가려졌던 얼굴이 드러나 있다./뉴스1 ⓒ News1 공정식 기자 |
(서울=뉴스1) 음상준 보건의료전문기자 = 방역당국은 3월 마지막 주 일상회복을 위한 로드맵을 발표할 예정이다. 일상회복을 위한 당국의 중요 결정이 이뤄질 전망이다.
이번 발표에는 코로나19 진단검사 및 확진자 7일 격리 의무, 치료제 지원, 확진자 재정 지원 등 방역 조치별 전환 계획이 상세히 담길 예정이다. 이르면 올해 상반기 일상회복으로 다가서는 것이다.
지금까지 당국은 국가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원회(감염병 자문위) 등 전문가 의견을 수렴한 뒤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를 통해 최종 결정을 내렸다.
중대본 회의는 매주 수요일 열리고 있다. 앞서 실내 및 대중교통 내 마스크 해제 조치도 중대본 회의에서 결정했다. 이 일정대로라면 다음 중대본 회의가 열리는 오는 29일 주요 발표가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당국은 위기 단계 하향과 감염병 등급 조정을 준비하기 위해 지난 2월 위기관리표준매뉴얼과 감염병예방법 개정에 착수했다.
전국적인 코로나19 확산에서도 단계를 조정할 수 있도록 위기관리표준매뉴얼을 개정하는 방식이다. 4급 감염병에 질병관리청장이 고시하는 감염병을 포함하는 내용으로 감염병예방법도 개정할 계획이다.
위기 단계는 세계보건기구(WHO) 코로나긴급위원회 이후 우리 정부의 위기평가회의를 거쳐 조정될 것으로 보인다. 시기로는 4월 말 또는 5월 초로 예상된다.
감염병 등급 전환도 순차적으로 조정된다. 정부는 "상세한 조정 계획을 3월 말 일괄적으로 발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위기 단계가 경계 단계로 하향하면 국무총리가 본부장인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해체한다. 이후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총괄 체계로 전환해 범부처 대응 수준을 일부 완화한다. 중대본 해체와는 무관하게 범정부 지원체계(행정안전부)와 중앙방역대책본부(질병관리청)는 유지한다.
관건은 7일 격리 의무를 완전히 해제하느냐다. 전파되는 코로나19 특성상 해제보다는 단축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홍콩 정부는 지난 1월 30일부터 코로나19 감염자의 격리 의무를 폐지했다. 확진자 격리는 마스크 착용과 함께 코로나19 핵심 방역수칙이었다.
일각에서는 당국이 전향적으로 격리 의무까지 해제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당초 정부는 마스크 해제 시점을 올해 5월로 예상했으나, 시행 시기가 빨라졌다. 확진자 격리 의무도 비슷한 수순을 밟을 수 있다는 전망이 많다.
코로나19 유행이 안정적인 것도 이 같은 전망에 힘을 싣고 있다. 25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1만448명 발생했다고 밝혔다. 누적 확진자는 3075만9895명을 기록했다.
입원 치료를 받는 위중증 환자는 153명으로 전날 144명보다 9명 증가했다. 34일째 100명대를 이어갔고, 최근 1주일 간(3월 19~25일) 평균 위중증 환자 수는 133명이다.
전날 신고된 사망자는 6명이며, 누적 3만4217명이다. 주간 일평균 사망자 수는 8명이며, 전날과 같다. 누적 치명률은 0.11%를 유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