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스트레칭은 필수
수험생들은 1교시당 적게는 80분에서 많게는 100분 동안 고개를 숙인 상태에서 시험을 치른다. 집중도를 높이기 위해선 어쩔 수 없지만 이런 자세는 목과 어깨에 통증을 유발시킬 수 있다. 또 과도하게 목을 숙일 경우 뇌에 산소와 영양 공급을 방해해 집중력을 떨어뜨리고 피로감을 쉽게 느끼게 된다.
![]() |
따라서 수험생들은 쉬는 시간마다 기지개를 펴듯 온몸을 늘려주면서 긴장된 근육을 풀어주는 것이 좋다. 우선 양손을 깍지 끼고 숨을 마시면서 팔을 위로 뻗은 뒤 목을 뒤로 천천히 젖히면서 숨을 내쉰다. 같은 동작을 3회 정도 반복하면 목과 어깨의 긴장된 근육을 풀어줄 수 있다.
또한 오른팔을 들어 왼쪽 귀를 손바닥으로 감싸고 오른쪽으로 지긋이 눌러준다. 이때 왼쪽 어깨는 누르는 힘의 반대방향으로 내려준다. 이 방법을 3회 정도 반복하고 반대쪽도 같은 방법으로 실시한다.
◆허리 통증 유발하는 자세
일부 수험생들은 다리를 꼬고 앉은 자세에서 시험을 보기도 한다. 다리를 꼬는 자세는 반대편 골반에 더욱 많은 체중이 실려 근육의 한곳에만 집중되기 때문에 피로가 가중될 수 있다.
또한 잘못된 자세로 장시간 동안 앉아있게 되면 허리 통증을 유발시킬 수 있다. 이를 피하기 위해선 허리쿠션이나 발 받침대를 이용하거나 엉덩이를 깊숙이 넣고 허리를 등받이에 기대는 자세를 유지해 주는 것이 좋다.
![]() |
더불어 양발을 어깨 넓이로 벌린 상태에서 등이 둥근 모양이 되도록 천천히 몸을 숙여 아랫배가 허벅지에 닿을 수 있게 한다. 이 자세로 15초간 버티는 동작을 3~5회 정도 반복하면 등과 허리 전체 근육을 풀어 줄 수 있다.
◆안구 스트레칭 역시 중요
수험생들이 두뇌만큼이나 많이 사용하는 신체부위는 바로 눈이다. 9시간 이상 시험에 집중하다 보면 안구가 마르거나 뻑뻑해지고 심한 경우에는 통증과 침침한 증상도 나타날 수 있다. 우선 눈에 피로감이 느껴질 때에는 집게손가락으로 눈 주위를 마사지 하거나 손바닥으로 눈꺼풀을 눌러주면 도움이 된다.
또한 눈을 깜빡 거리는 동작은 눈물을 분비하고 노폐물 배출에 도움을 줘 안구의 건조함과 피로감을 덜어준다. 따라서 눈을 깜빡 거리는 동작을 반복해 눈을 피로를 덜어주는 ‘눈 스트레칭’도 도움이 된다.
이철우 바로병원장은 “수능 전 컨디션도 중요하지만 시험 당일 컨디션이 더욱 중요하다”며 “수험생들이 집중력을 최대화하려면 올바른 자세를 유지해 신체 피로를 최소화하고 간단한 스트레칭을 통해 긴장을 완화시키는 것이 큰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