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최초 공공임대리츠방식 공공임대주택 조감도. 사진제공=LH
국내최초 공공임대리츠방식 공공임대주택 조감도. 사진제공=LH
초저금리 기조가 이어지고 부동산 경기가 호조를 띠자 리츠(REITs)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추세다. 통상 부동산에 투자하려면 큰돈이 필요하지만 리츠를 활용하면 소액으로도 투자할 수 있어서다. 최근 관련 규제가 완화되면서 이런 분위기는 더욱 무르익었다.
2일 리츠 업계에 따르면 한국거래소가 지난달 말 임대형 리츠사의 상장을 위한 매출액 요건이 현행 300억원에서 100억원으로 완화했다. 임대 리츠의 자산 대비 매출액 비율이 6.2%인 점에 고려하면 종전 요건(300억원)을 충족하기 위한 자산 규모가 5000억원 정도 필요했다.

하지만 업계 평균 자산 규모는 1600억원 수준. 거래소는 이에 따라 매출액 요건을 현행 요건보다 200억원 낮췄다. 다만 임대리츠를 제외한 기존 개발형리츠에 대해서는 매출 300억원 기준을 유지했다.

일반 개인투자자들이 리츠를 통해 투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장이 필수다. 리츠는 증시에 상장돼 개인이 주식을 사고파는 형식으로 거래가 이뤄지는 공모형 리츠와 기관투자자가 투자하는 사모형 리츠로 나뉜다.


현재 공모형 리츠를 기반으로 활성화된 외국과 달리 국내 전체 98개 리츠 중 공모형은 6개에 불과하다 하지만 앞으로 수요는 점차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저금리시기에 안정적인 투자수단인 데다 고령화 대비를 위한 자산증식의 방편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부동산 간접투자시장의 특징과 시사점’을 보면 일본은 초저금리·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하면서 부동산경기침체를 맡자 2001년 리츠 제도를 시행했고 이후 높은 유동성과 소액 지분투자가능 등의 다양한 장점으로 2004년 이후 급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역시 마찬가지다. 2002년 도입된 리츠는 완만한 성장을 이어가다가 금융위기 직전부터 빠르게 성장해 이달 현재 15조원 규모의 시장을 형성했다. 수익률은 2011년 이후 연평균 8%를 기록, 채권과 주식 예금 등의 연평균 수익률(1~2%)을 훨씬 웃돌았다.


올해 들어선 부동산 토지 매입부터 참여하는 개발리츠가 주목을 받는다. 지난해까지는 투자 위험이 크지 않은 오피스빌딩과 쇼핑몰 등 상업용 부동산이 대세였으나 수익성 높은 부동산을 찾기 어려워지면서 개발사업이 뜨고 있다는 게 리츠 업계의 전언이다.

이상재 한국리츠협회 정책팀장은 "앞으로 공모형 리츠가 늘어나고 시장 규모도 커질 것"이라며 "최근 들어 수익률이 낮아졌다고는 하지만 예금·채권 등 투자수단의 수익률보다 높아 투자가치는 충분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