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시내 한 아파트 밀집 지역. /사진=뉴시스 DB |
또 전용 85㎡ 이하 중소형 아파트값이 크게 오르면서 중대형 아파트와의 매매가 격차도 크게 좁혀진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11·3 부동산대책 이후 서울 아파트 시장이 약세를 보이고 있는데다 내년 부동산시장 전망도 밝지 않아 중대형 아파트의 과거 고점 회복은 아직 멀었다는 분석이다.
21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전용면적 85㎡ 이하 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지난 9일 기준 3.3㎡당 1664만원으로 최고가를 기록 중이다.
전용 85㎡ 이하 중소형 아파트는 지난 2009년 말 1498만원을 기록한 이후 4년 연속 하락했지만 2014년 들어 상승세로 돌아선 이후 최고가를 경신하고 있다.
반면 전용 85㎡ 초과 중대형 아파트의 가격 회복은 상대적으로 더딘 편이다. 중대형 면적은 지난 2007년 최고점(3.3㎡당 2073만원)을 찍은 이후 하락세가 계속됐다. 2014년 이후 상승세로 돌아섰지만 역시 지난 9일 기준 3.3㎡당 1911만원으로 과거 고점 대비 90% 정도 회복에 그쳤다.
실제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서울 아파트값은 전용 85㎡ 이하 면적이 19.21% 오른 반면 전용 85㎡ 초과 면적은 8.33% 상승에 그쳤다.
전용면적 85㎡ 이하 아파트값이 상대적으로 크게 오르면서 서울 중소형 아파트와 중대형 아파트 매매가 차이도 크게 좁혀 졌다.
이달 기준 중소형 면적과 중대형 면적의 호당 평균 매매가 차이는 4억7928만원(전용 85㎡ 이하 호당 평균 5억10만원, 85㎡ 초과 9억7938만원) 수준이다.
지난 2006년 말 6억3237만원(전용 85㎡ 이하 3억9404만원, 85㎡ 초과 10억2641만원)까지 벌어졌던 가격차가 2007년 이후 줄어들기 시작하면서 2013년에는 4억5110만원까지 격차가 줄었다.
2014년 들어 중대형 면적 가격 상승으로 가격차가 다시 벌어졌지만 2006년 대비 여전히 1억5000만원 정도 줄어든 수준이다.
이는 전세난 등으로 세입자들이 비교적 저렴한 아파트 매매로 선회하면서 일부 중소형 아파트 매매가가 크게 상승한 반면 선호도가 낮아진 고가·대형 아파트 가격 상승은 중소형 아파트 오름폭에는 미치지 못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임병철 부동산114 책임연구원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전용 85㎡ 초과 중대형 아파트는 중소형 아파트에 비해 아파트값이 오를 때 덜 오르고, 떨어질 때는 더 많이 떨어지는 양상을 보였다”며 “2017년 부동산시장 전망이 밝지 않은 가운데 전용 85㎡ 초과 중대형 아파트의 과거 고점 회복은 아직 멀어 보인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