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드론 전체와 물류 드론분야 특허출원 동향. /제공=특허청 |
특허청이 무인항공기(드론)에 대한 기술개발과 응용범위의 확장으로 화물이송이나 배달과 같은 물류이송용 무인항공기에 관한 특허출원이 2014년부터 급증하고 있다고 31일 밝혔다.
드론을 이용한 물류이송은 2013년에 아마존이 ‘프라임 에어’라는 배송서비스를 공개한 이후, 글로벌 물류기업인 DHL, 구글, 월마트와 국내물류기업인 CJ대한통운 등이 지대한 관심을 보여 왔다.
2013년까지 전무했던 물류용 드론 관련 출원은 2014년 7건을 시작으로 2015년에는 25건으로 늘어났고 2016년에도 31건으로 그 증가세가 지속되었다.
특허청 관계자는 “짧은 비행시간과 같은 기술적 문제나 비행공역 규제 등 물류용 드론이 넘어야 할 장벽이 여전히 존재한다”면서도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지역으로의 배송이나 구호물자배송 등의 인도주의적 서비스를 시작으로 그 사용범위가 점차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 |
물류 드론분야 출원인 동향. /제공=특허청 |
최근 3년간(2014~16년) 출원인별 동향을 살펴보면, 대학 및 연구소의 출원이 23건으로 전체의 37%를 차지했고 개인 21건(33%), 기업체 19건(30%) 순으로 조사됐다. 개인과 중소기업의 출원이 늘어나는 반면 대기업의 출원은 감소세다. 규제 등으로 대기업의 연구가 주춤한 반면 개인 및 중소기업의 연구가 활발한 것으로 보인다.
기술분야별로는 물류 드론 시스템 관제 혹은 네트워킹 기술이 가장 큰비율(35%)를 차지했고 드론에 화물을 적재하거나 고정하는 기술(32%) 및 이착륙 유도에 관한 기술(13%)에 출원이 집중돼 있다. 또 아파트와 같은 집합건물이 대부분인 국내 특성상 배송물을 베란다를 통해 받는 지상수취기술(13%)도 꾸준히 출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물류 드론분야 기술분류별 동향. /제공=특허청 |
이석범 특허청 차세대수송심사과장은 “물류용 드론기술이 아직 초기단계인 만큼 관련분야의 지식재산권 확보는 시장선점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라며 “지속적인 기술개발과 이를 조기에 권리화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특허청은 유망 기술분야의 지식재산권 경쟁력 강화를 위해 ‘특허전략(IP-R&D) 지원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4차 산업혁명 기술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응해 ‘4차 산업혁명 대비 특허 ·실용신안심사기준’을 올해 말까지 마련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