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 한 아파트 단지. /사진=김창성 기자
경기도의 한 아파트 단지. /사진=김창성 기자
올 1분기 서울 등 수도권에서는 일 평균 1000건 이상의 아파트 매매 거래가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2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국토교통부의 아파트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 1분기 수도권 아파트 매매 거래건수는 총 9만8047건으로모 1분기 기준으로는 집계가 시작된 2006년 이래 최대 수준이다.

경기와 인천에서 역대 1분기 최대 거래량을 경신한 영향이다. 지난 1일 기준 1분기 실거래신고가 온전히 반영되지 않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실제 계약 건은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올해를 제외하면 1분기 수도권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9만건 이상을 기록했던 시기는 주택시장이 대세 상승기에 진입했던 2015년(9만3348건) 뿐이다.

◆금액별 거래량은?… 6억 이하↑, 15억 초과↓

수도권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1분기 기준 역대 최대를 기록했지만 직전 분기(10만4796건) 보다는 6749건 줄었다. 지난해 12·16대책에 따른 대출규제와 거래소명 강화, 보유세 부담으로 고가 아파트를 중심으로 매수가 급감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올 1분기 수도권 아파트 매매 계약건수를 거래금액 구간별로 살펴보면 6억원 이하 아파트 거래가 전 분기 대비 6966건(9.1%) 늘었다.


반면 6억원을 초과한 모든 구간에서 거래 감소가 나타났다. 대출이 막힌 15억원 초과 아파트 거래량은 지난해 4분기 보다 5분의1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분기별 수도권 아파트 매매 거래량. (단위: 건) /자료=부동산114
분기별 수도권 아파트 매매 거래량. (단위: 건) /자료=부동산114

◆풍선효과 여파?… 서울 아닌 경기·인천이 견인

경기와 인천에 비해 고가 아파트가 많은 서울의 경우 올 1분기 거래량이 직전 분기(3만2605건)보다 1만5248건(46.8%) 줄었지만 ▲노원(2362건) ▲구로(1231건) ▲도봉(1119건) ▲성북(1108건) ▲강서(1021건) 등 중저가 아파트가 많은 지역에서는 1000건 이상 거래가 이뤄졌다.
반면 고가 아파트 비중이 큰 강남3구(강남·서초·송파) 거래량은 전 분기 대비 70% 이상 감소했다.

경기, 인천에서는 아파트 거래가 증가했다. 인천은 지난해 4분기에 비해 전 지역에서 거래가 늘었다. 지역별로는 ▲연수구(3511건) ▲남동구(3423건) ▲서구(3097건) ▲부평구(2792건) 순이다. 주로 대중교통을 이용한 서울 접근성이 좋은 지역을 중심으로 거래가 이뤄졌다.

같은 기간 경기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총 6만3977건으로 지난해 4분기보다 6.8%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수원(7902건) ▲용인(7319건) ▲화성(5662건) ▲고양(4456건) ▲남양주(3743건) ▲안산(3549건) ▲부천(3252건) ▲시흥(3122건) 등이 거래가 많았다.

2·20대책 이후 비규제지역으로 매수세가 이동하면서 군포(2838건)와 오산(1924건)은 2019년 4분기보다 2배 이상 거래량이 늘었다.
인천시내 한 아파트 단지. /사진=김창성 기자
인천시내 한 아파트 단지. /사진=김창성 기자

◆분위기 반전된 수도권 매매시장… 3월 가격 조정기 진입

올 2월 비규제지역의 중저가 아파트로 수요가 꾸준히 이어지면서 경기와 인천의 거래건수가 늘었지만 코로나19가 대유행(팬데믹)에 진입한 3월 들어서 수도권 아파트 매매시장은 부진한 흐름을 보인다.
여경희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서울은 강남3구에서 시작된 거래절벽이 전역으로 확대되면서 3월 말 집값이 하락세로 돌아섰다”고 분석했다. 이어 “경기·인천은 아직까지 상승세가 유지 중이지만 가격 급등 피로감이 누적된 데다 규제책과 경기침체 우려로 매수심리가 위축돼 분위기 반전은 시간 문제”라며 “2분기 보유세와 양도세 부담으로 다주택자 급매물이 늘어날 경우 수도권 아파트시장의 가격 조정 국면이 보다 빨라질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