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10~11월이 되면 일반 의료체계에서 현재 1급 감염병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일반 독감(4급)과 같이 관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완전한 일상회복이 시작되는 시점이 앞으로 9~10개월 남은 셈이다.
정기석 코로나19 특별대응단장 겸 국가감염병위기대응 자문위원장은 지난 3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코로나19에 걸렸을 때 국가가 별도의 예산을 편성해서 지원하는 것이 아닌 건강보험 체제에서 일반 병원서 진료받고 치료받을 수 있는 시기로 전환하는 것은 올해 10~11월쯤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오는 5월 병원과 약국을 포함한 의료기관과 요양병원, 요양원 등의 감염취약시설, 대중교통수단 등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가 권고로 전환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정 위원장은 "우리가 (실내에서) 마스크를 의무적으로 착용하지 않아도 되는 시기는 오는 5월 정도면 충분하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모든 위원회나 각 본부를 중심으로 그때까지 나오는 자료들을 충분히 검토할 것이다"고 덧붙였다.
지난 30일 0시부터 의료기관과 약국, 감염취약시설, 대중교통수단 등을 제외한 실내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는 권고로 조정됐다.
정 위원장은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조정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 확진자의 7일간 격리의무 해제는 아직 시기상조로 바라봤다.
그는 "격리를 다 풀었을 때 주변에 바이러스를 전파할 수 있어 조금 더 지켜봐야 한다"며 "질병관리청에서 관련 실험을 마치고 여러 여건이 조성이 돼야 가능할 것이다"고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그러면서 "국내 코로나19 위기 단계가 '심각'에서 '경계'나 '주의'로 내려가야 본격적인 논의가 가능할 것이다"고 덧붙였다.
"코로나19 예방수칙, '의무'이자 '배려'입니다"
#올바른 마스크 착용 #건강한 거리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