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1일부터 중국발 입국자에게 부과된 방역조치가 모두 해제된다. 지난 1일 중국발 단기체류 입국자의 코로나19 검사 의무가 해제되면서 인천국제공항 코로나19 입국자 검사센터 관계자가 중국발 단기체류자 관련 안내문을 떼고 있다. /사진=뉴스1
오는 11일부터 중국발 입국자에게 부과된 방역조치가 모두 해제된다. 지난 1일 중국발 단기체류 입국자의 코로나19 검사 의무가 해제되면서 인천국제공항 코로나19 입국자 검사센터 관계자가 중국발 단기체류자 관련 안내문을 떼고 있다. /사진=뉴스1

오는 11일부터 중국과 홍콩, 마카오에서 한국으로 입국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방역조치가 해제된다. 입국 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검사와 큐코드(검역정보 사전입력시스템) 의무 조치가 사라진다.

임숙영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상황총괄단장은 8일 정례브리핑에서 이 같은 조치를 발표하면서 "춘절 연휴(1월21일~27일) 이후에도 중국 내 코로나19 상황은 한 달 이상 안정세를 지속하고 있다"며 "코로나19 바이러스 유전체 분석 결과에서도 우려할 만한 신규 변이가 발생하지 않는 등 중국 내 코로나19 상황이 안정화 상태에 있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난 2월26~28일 3일간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입국 후 검사 양성률도 0.7%로 안정적인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지난 1일부터 중국발 입국자는 입국 이후 유전자증폭(PCR) 진단검사를 받지 않아도 됐다. 인천국제공항 이외 공항을 통해서도 국내 입국할 수 있다.

정부는 코로나19의 동절기 유행이 사실상 끝났다고 바라봤다. 임 단장은 "9주 연속 신규 확진자 수가 감소하고 있어 코로나19의 동절기 유행은 감소세를 넘어 안정화 단계에 이르렀다고 보고 있다"며 "최근 개학이나 실내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등으로 소폭 증가세를 보일 수는 있지만 전반적인 확산세로 전환할 것으로 보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중대본은 코로나19 대응 과정을 점검하고 향후 새로운 감염병 출현에 대비하기 위한 중장기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감염증 감시예방, 초기대응·대규모 유행관리, 일상회복, 법·제도 기반강화, 연구개발 등에 대해 관계부처와 협의해 계획을 수립한 뒤 5월초에 발표할 방침이다.

임 단장은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의 정합성, 이에 따른 피해보상문제 등을 검토해 신종 감염병 위험에 대처할 수 있도록 방역체계를 전면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다음 팬데믹(세계적 감염병 대유행) 때 신속히 백신·치료제를 개발해 감염병에 대응할 수 있게 하는 등의 개선과제를 발굴할 것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