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근로시간 개편안에 대한 입장을 밝힌다. 사진은 지난 7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는 윤 대통령. /사진=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이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근로시간 개편안에 대한 입장을 밝힌다. 사진은 지난 7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는 윤 대통령. /사진=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이 최근 논란이 된 '주69시간제'에 대한 입장을 밝힌다.

윤 대통령은 21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MZ근로자와 노조 미가입자 등 노동 약자의 노동권·휴식권을 보장하자는 근로시간 개편안의 본래 취지에 대해 설명할 방침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지난 20일 대통령실 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근로시간 개편안에 대해 여러 의견들이 분분해 대통령께서 걱정을 표하고 있다"며 "정부의 메시지가 혼란스러웠던 측면들도 있기에 이 부분에 대해 (윤 대통령이) 국무회의 때 정부 입장을 설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주69시간제는 존재하지 않으며 윤 대통령이 '60시간 이상은 무리'라고 한 언급도 가이드라인이 아닌, 정책 보완 과정에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노동 약자를 위해 입법을 시도한 것인데 정치권으로 가면서 노동 약자의 노동권을 약화시키는 것으로 둔갑됐다"고 지적했다.

고용노동부는 지난 6일 주당 최대 69시간 노동을 허용하는 등의 근로시간 제도 개편방안을 발표했다. 하지만 윤 대통령은 지난 14일 해당 개편안에 대해 "입법예고 기간 중 표출된 근로자들의 다양한 의견, 특히 MZ세대의 의견을 면밀히 청취해 법안 내용과 대국민 소통에 관해 보완할 점을 검토하라"고 주문했다. 지난 20일에도 "임금·휴가 등 보상체계에 대한 불안감이 없도록 확실한 담보책을 강구하라"고 지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