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으로 유생하고 있는 오미크론 XBB.1.16 변이 바이러스를 포함한 XBB 계열 변이 바이러스가 국내 우세종이 됐다. 지난 6일 오후 대구 달서구보건소 뒤편 월성공원에 마련된 코로나19 선별진료소가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사진=뉴스1
세계적으로 유생하고 있는 오미크론 XBB.1.16 변이 바이러스를 포함한 XBB 계열 변이 바이러스가 국내 우세종이 됐다. 지난 6일 오후 대구 달서구보건소 뒤편 월성공원에 마련된 코로나19 선별진료소가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사진=뉴스1

최근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오미크론 XBB.1.16 변이 바이러스는 국내에서도 유행이 확산되고 있어 코로나19 재확산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27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4월 3주 XBB.1.16의 검출률은 4.6%로 1주 만에 2배 이상 높아졌다. 4월 2주 XBB.1.16의 검출률은 1.8%였다.


4월 3주 XBB.1.16을 포함한 XBB, XBB.1.5, XBB.1.91 등 XBB 계열 변이 바이러스의 검출률은 총 55.7%로 우세종화됐다. 이전의 우세종이었던 BN.1 검출률은 24.1% 수준으로 낮아졌다. XBB.1.16은 지난 3월9일 국내에 처음 유입이 확인됐다.

질병관리청 관계자는 "WHO에 따르면 XBB.1.16의 면역회피율은 다소 높지만 현재까지 중증도 증가는 확인되지 않았고 기존 변이 바이러스에 비해 위험도는 높지 않은 것으로 평가됐다"고 말했다.

XBB.1.16 변이는 지난 1월 인도에서 처음 발생했다. 5주 연속 확진자가 2배 이상 늘어나는 '더블링' 현상이 나타나며 코로나19 재유행 조짐을 보이고 있다.


WHO에 따르면 XBB.1.16은 미국, 싱가포르, 호주, 캐나다 등 최소 33개국에서 검출됐고 지금까지 최소 152건이 검출됐다. WHO는 지난 3월22일 XBB.1.16을 관심변이(VUM)로 지정했다.

XBB.1.16의 전염력은 XBB.1.5보다 1.17~1.27배 높고 기존 면역에 대한 회피능력이 높다는 연구결과도 나왔다.

최근 결막염, 안구충혈, 가려움증 등의 눈병을 동반한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전염병 전문가인 아일린 마티 박사는 미국 매체 CBS와 인터뷰에서 XBB.1.16의 주요 증상으로 "아이들에게서 눈이 충혈되거나 고열을 겪는 사례가 더 많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