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아프리카에서 에볼라 바이러스 감염이 확산하는 가운데 지난 8월 제주국제공항에서 출국하는 여행객들이 검역소 열감지기를 통과하고 있다. /사진=뉴스1 |
15일 진원생명과학은 상한가를 기록하며 2285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10월 들어 진원생명과학은 연일 상승세로 9거래일 중 4일째 상한가를 쳤다.
이에 따라 연초 1000원 대 초반에 불과하던 주가는 15일 현재 2000원 대 초반으로 이 기간 동안 85.02% 급등했다. 진원생명과학은 지난 9월 모기업인 미국 기업과 에볼라바이러스 임상실험을 시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특히 이 회사는 24억원의 차입금에 대한 상환을 최근 완료하면서 부채비율이 기존 19%에서 8.1%로 감소했다.
바이오니아도 에볼라바이러스 논란이 확산된 9월 중순부터 상승세를 거듭하고 있다. 연초 1만900원이던 주가는 15일 현재 1만2500원으로 14% 뛰었다.
에볼라바이러스의 수혜주로 꼽히는 일양약품 또한 15일 상한가로 마감했다. 연초 2만원 중반 대 주가를 형성했으나 현재 3만원을 넘어섰다. 일양약품이 개발 중인 차세대 항바이러스제 ‘IY-7640’이 에볼라바이러스 치료 가능성을 알아보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에서 ‘긍정적’이란 평가를 받은 것으로 전해지면서 수혜주에 포함됐다.
이 같은 에볼라바이러스 수혜주들의 주가 급등은 미국에서 에볼라바이러스 감염으로 첫 사망자가 발생한 이후 감염자가 2명째 발생한 것이 원인이 됐다. 에볼라바이러스의 확산 우려가 심화되면서 이 바이러스의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회사들에 투자심리가 형성된 것이다.
앞서 BBC방송은 지난 15일(현지시간) 미 텍사스주에서 또 다른 의료 종사자가 에볼라 바이러스에 양성 반응을 나타냈다고 보도했다. 이로써 사망자 토마스 에릭 던컨으로부터 감염된 26살의 여성 간호사에 이어 두번째 에볼라 바이러스 감염자가 나왔다.
미 관리들은 던컨과 접촉했던 48명과 그를 치료했던 의료 종사자들을 관찰하고 있다. 그러나 던컨 치료에 관여했던 의료 인력 중 에볼라 확진 환자가 추가 발생함에 따라 미 보건당국의 허술한 관리가 도마 위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