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토음식 도리뱅뱅이, ‘전참시’에서 화제
![]() |
옥천 금강휴게소의 별미인 도리뱅뱅이. /사진=한국관광공사 |
1971년 문을 연 금강휴게소는 지금도 우리나라 고속도로를 대표하는 휴게소지만 2004년까지만 해도 서울과 경상도를 오가는 고속버스 상당수가 이곳에 정차해 무척 혼잡했다. 상행선과 하행선 시설이 분리된 일반적인 고속도로 휴게소와 달리, 금강휴게소는ᅠ하행선 쪽에 위치한 휴게소 시설을 함께 사용한다. 회차가 가능한 고속도로 휴게소 네곳 중 한곳이라 드라이브 삼아 찾는 여행객도 있다.
◆자연경관 빼어난 금강휴게소
![]() |
금강휴게소에서 즐기는 커피 한 잔의 휴식. /사진=한국관광공사 |
금강휴게소는 애초부터 금강 변에 자리한 유원지로 시작된 곳이다. 휴게소에서 금강 변으로 내려가는 계단이 있고, 차를 이용해 외부 도로를 따라 금강 변으로 내려가 낚시와 수상스키를 즐길 수도 있다. 강변에는 금강의 별미인 도리뱅뱅이를 파는 간이음식점이 늘어섰고, 둑을 따라 낚시를 즐기는 강태공이 눈에 띈다.
![]() |
금강유원지의 오리배. /사진=한국관광공사 |
시간이 나면 휴게소에서 굴다리로 연결된 조령리 마을에 가보자. 금강휴게소에서 굴다리를 지나면 닿는 마을로, 도리뱅뱅이와 생선국수가 유명하다. 생선국수는 쏘가리, 동자개(빠가사리), 메기 등 갓 잡아 올린 신선한 민물고기를 통째로 두 시간쯤 삶아 고춧가루, 고추장, 생강, 후춧가루, 된장, 들깻가루, 부추, 청양고추, 깻잎 등을 넣고 얼큰하게 끓인 음식. 시원하면서도 칼칼한 맛이 일품이다.
이 밖에도 금강휴게소에는 자잘한 즐길 거리가 많다. 금강 쪽 테라스에 있는 ‘사랑의그네’는 드라이브해서 이곳에 놀러 온 연인들의 데이트 장소로 유명하다. 난간 쪽 철조망에 이들이 사랑을 염원하며 다닥다닥 매단 자물쇠가 보인다.
![]() |
연인들이 매달아놓은 금강휴게소 난간의 자물쇠. /사진=한국관광공사 |
옥천은 ‘향수’의 고장이다. 충북 옥천에서 태어난 정지용(1902~1950) 시인은 1922년 휘문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이듬해 일본 도시샤대학(同志社大学)에 입학했다.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아는 ‘향수’는 시인이 일본 유학 시절, 고향을 그리는 마음을 표현한 시다. 옥천읍 하계리에 있는 정지용생가와 문학관은 시인의 생애와 문학 세계를 엿보는 곳이다. ‘지용 연보’와 ‘지용 문학 지도’, 시집 등을 통해 우리나라 현대 시에서 시인이 차지하는 위상을 이해할 수 있다.
![]() |
정지용문학관 입구의 정지용 밀랍인형. /사진=한국관광공사 |
우리 술에 관심 있다면 이원면에 자리한 이원양조장을 찾아보자. 1930년대에 설립해 4대째 막걸리를 빚는 곳으로, 누룩을 직접 띄워 ‘아이원생막걸리’ ‘향수’ ‘시인의마을’ 등을 만든다. 발효실, 입국실, 누룩방 등 곳곳에 남은 시설에서 옛 양조장의 정취를 고스란히 느낄 수 있다. 예약하면 견학과 시음도 가능하다. ‘향수’는 우리밀 100%로 만든 막걸리로, 묵직하면서 두터운 맛이 일품. 도리뱅뱅이를 안주로 옆에 두면 옥천의 맛이 완성된다.
![]() |
이원양조장. /사진=한국관광공사 |
금강휴게소-정지용생가와 문학관
☞1박 2일 여행 코스
첫째날: 금강휴게소-정지용생가와 문학관
둘째날: 부소담악-이원양조장 <사진·자료=한국관광공사(2019년 9월 추천 가볼 만한 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