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가 인공지능(AI) 윤리 원칙을 세웠다. 사진은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 /사진=뉴스1
LG가 인공지능(AI) 윤리 원칙을 세웠다. 사진은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 /사진=뉴스1

LG가 인공지능(AI)을 개발·활용하는 구성원이 지켜야 할 올바른 행동과 가치 판단의 기준인 'AI 윤리원칙'을 발표했다.

LG는 신뢰할 수 있는 AI를 개발하기 위한 필수적인 가치와 '고객을 위한 가치창조', '인간 존중의 경영'이라는 경영 이념을 고려해 5대 핵심 가치를 선정했다고 24일 밝혔다. LG의 'AI 윤리원칙' 5대 핵심 가치는 ▲인간 존중 ▲공정성 ▲안전성 ▲책임성 ▲투명성 등이다.


인간 존중은 AI가 인간의 자율성과 존엄성과 같은 권리를 침해하지 않고 인류에 긍정적인 가치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의미다. 공정성은 AI가 성별, 나이, 장애 등 인간의 개인 특성에 기초한 부당한 차별을 하지 않고 다양성을 존중하며 공정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뜻을 담았다.

안전성은 안전과 관련된 부분은 글로벌 수준의 검증 시스템을 항시 가동해야 하고 책임성은 AI를 개발하고 활용하는 LG 구성원들이 주인의식을 갖고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해야 한다는 취지다. 투명성은 AI의 원칙과 기준에 따라 알고리즘과 데이터 활용을 관리하고 AI가 내놓은 결과를 고객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소통해야 한다는 뜻이다.
LG AI 윤리원칙. /그래픽=LG 제공
LG AI 윤리원칙. /그래픽=LG 제공

LG AI연구원은 'AI 윤리원칙'의 중요성을 알리고 실제 업무에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실행하는 'AI 윤리 점검 태스크포스(TF)'를 신설했다. 'AI 윤리 점검 TF'는 LG 구성원들이 AI 기술의 사회적 책임에 대해 함께 생각하고 고민할 수 있도록 'AI 윤리원칙' 교육을 진행한다.

그룹 내 주요 AI 윤리 이슈들을 논의하는 협의체인 'AI 윤리 워킹그룹'도 연말에 신설할 예정이다. 'AI 윤리 워킹그룹'은 LG전자,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LG화학, LG에너지솔루션, LG생활건강, LG유플러스, LG헬로비전, LG CNS 등 10개 계열사가 참여한다.


LG AI연구원은 'AI 윤리 점검 TF'와 'AI 윤리 워킹그룹'을 통해 축적한 데이터와 사례를 바탕으로 오는 2023년까지 LG가 연구하고 있는 AI의 세부 분야별 윤리 가이드라인을 개발해 계열사로 전파한다는 계획이다.

배경훈 LG AI연구원장은 "인간이 AI를 어떻게 바라보고 활용하느냐에 따라 그 가치에 대한 평가는 달라질 것으로 본다"며 "AI 윤리원칙 수립을 통해 인간과 AI의 공존에 관한 연구를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