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시찰단이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의 방사능 오염수 처리 시설 점검 결과를 발표했다. 사진은 3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요활동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는 유국희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전문가 현장 시찰단장. /사진=뉴스1
후쿠시마 시찰단이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의 방사능 오염수 처리 시설 점검 결과를 발표했다. 사진은 3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요활동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는 유국희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전문가 현장 시찰단장. /사진=뉴스1

日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전문가 현장 시찰단이 지난 21일부터 26일까지 진행된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의 방사능 오염수 처리 시설 점검 결과를 발표했다.

시찰단을 이끈 유국희 단장은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 브리핑룸에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전문가 현장 시찰단 주요활동 결과' 브리핑을 진행했다. 그는 활동 내용을 설명하며 "시찰단은 오염수 해양 방류 관련 핵심 주요 설비인 다핵종제거설비(ALPS), 측정확인용 설비(K4탱크군), 방출(이송·희석·방출) 설비와 중앙감시제어실, 화학분석동(방사능분석실험실) 등을 집중적으로 점검했다"고 밝혔다.


시찰단은 ALPS의 방사성핵종 제거 성능과 장기간 안정적 운영 가능성을 중점 점검하고 방사성핵종 제거 성능과 관련해 연 1회 수행된 ALPS 입출구 농도분석 결과(2019~2022) 등 원자료를 확보했다. 흡착재 교체 시기 등도 확인했다.

방류 전 삼중수소 외 방사성핵종의 농도를 측정해 배출기준 만족 여부를 확인하는 설비인 K4탱크군도 점검했다. 이어 탱크 간 오염수를 순환시키는 순환 펌프의 제원, 설치상태를 비롯해 순환계통 성능 확인을 위한 설계도면, 시험·점검 기록지 등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시찰단은 삼중수소 외 배출기준을 만족하는 오염수를 K4 탱크군에서 희석설비로 이송하는 설비가 이상 상황 시 오염수의 해양 방출을 긴급 차단할 수 있는지 등을 점검한 결과 긴급차단 밸브의 구동력 상실시 밸브가 자동 닫힘으로 설계되고 추가로 수동 차단밸브가 설치됐음을 확인했다.


아울러 해수와 오염수를 희석하여 방출 터널을 통하여 해양으로 방출하는 해수 이송 펌프가 희석목표를 만족할 수 있도록 충분한 용량(1대당 7,086m3/hr)으로 설계됐다고 밝혔다.

이 밖에 제어기 고장에 대비해 별도의 예비 제어기가 구비되는 등 감시제어기능이 이중화되어 있음을 확인했다. 또 방사능 농도를 측정하는 화학분석동에 38대의 분석 장비가 구비돼 있고 분석과정이 절차화되어 있다고 설명했다. 방사선영향평가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기준과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ICRP) 기준에 따라 지표생물 등을 선정했다고 덧붙였다. 또 오염수 방출 시 특정 모니터링 지점에서 삼중수소 농도가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방류를 중단한다는 계획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끝으로 시찰단은 "이번 시찰은 현장 직접 확인과 보다 구체적인 자료확보를 통해 과학·기술적 검토 과정에서 의미 있는 진전이 있다"면서 "보다 정밀한 판단을 위해 추가적인 분석·확인 작업을 수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