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청 전경. /사진제공=고양특례시

고양특례시(시장 이동환)가 행정 효율성을 높이고 시민들의 민원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추진했던 백석별관 부서 재배치 계획이 시의회의 예산 삭감으로 인해 전면 무산됐다. 이로 인해 민원인들이 여러 청사에 흩어진 관련 부서를 찾아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인구 108만 명의 대도시인 고양특례시는 전국 5개 100만 특례시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1983년 고양군 시절 건립된 노후한 시청 본관의 협소한 공간과 낙후된 시설로 인해 행정 업무 효율성이 저하되고 있었다. 현재 시청 부서는 본관을 비롯해 신관, 1·2·3별관, 백석별관, 그리고 8개의 임차 청사까지 총 14개 건물에 분산되어 있어 민원인들은 관련 업무를 처리하기 위해 여러 건물을 방문해야 하는 불편을 겪고 있으며 주차 공간 부족 문제까지 심각한 상황이다.


이에 고양시는 사회복지국 등 7개 실·국과 3개 담당관 등 총 30개 부서를 백석별관(일산동구 중앙로 1020)으로 통합 재배치하는 계획을 세웠다. 총 사업비는 65억원으로 관련 부서 간 물리적 거리를 줄여 행정 효율을 높이고 시민 불편을 해소한다는 취지였다. 재배치 후에는 본청 주변 부서들도 보다 편리한 동선으로 재정비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고양시의회는 지난 3월 제1회 추가경정예산 심의에서 관련 예산 65억 원 전액을 삭감 결정했다.

이번 예산 삭감으로 인해 고양시는 백석별관의 장기간 미활용 상태가 지속될 뿐만 아니라, 오는 12월 계약이 만료되는 임차 청사의 계약 연장으로 인해 수억 원의 예산이 추가로 소요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현재 고양시가 임차 청사에 지출하는 연간 임대료는 약 9억4000만원에 달한다.


시는 이번 청사 재배치를 통해 관리비 및 공공요금 등 약 4억원(2024년 지출 기준)의 청사 관리 예산 절감 효과를 기대했으나, 예산 삭감으로 인해 이 또한 현실화되지 못하게 되었다.

고양시 관계자는 "예산 미반영으로 인한 사업 차질은 매우 아쉽지만, 시민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행정 대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관련 특위에서도 백석 업무빌딩 장기 미활용 문제를 주요 쟁점으로 지적한 만큼 시의회와 긴밀히 협의해 시민 중심의 효율적인 청사 운영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