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삼성전자가 임원 622명에게 총 513억원 규모의 장기성과급(LTI)을 자사주로 지급했다. 공시된 지급 단가는 1주당 7만400원이지만 과세 구간을 감안할 때 실제 총액은 공시 금액의 반보다 조금 많다. 주식 성과급 일종인 LTI는 주식이 교부되는 시점의 시가를 기준으로 근로소득세가 과세된다. 별도의 세제 혜택 없이 종합소득세율(최대 45%)이 적용된다.
삼성전자는 올해부터 임원 성과급의 50~100%를 자사주로 지급키로 했다. 지급 비율은 직급에 따라 다른데 상무 50% 이상, 부사장 70% 이상, 사장 80% 이상, 등기임원은 100% 등이다. 개인이 지급 범위 안에서 자율적으로 비율을 선택할 수 있다.
LTI는 만 3년 이상 재직한 임원을 대상으로 최근 3년의 경영 성과를 반영해 향후 3년 동안 분할 지급하는 보상 제도다. 지급액은 평균 연봉의 0~300% 범위에서 성과에 따라 책정된다. 매년 2월 지급되는 초과이익성과급(OPI)이나 반기별로 지급되는 목표달성장려금(TAI)과는 다른 장기 인센티브 성격을 갖는다.
삼성전자가 LTI를 자사주로 지급키로 한 배경에는 '책임 경영' 강화 방침이 있다. 단기 실적보다 장기적인 기업 가치 제고와 근원 경쟁력 회복에 방점을 뒀다. 삼성전자는 향후 자사주 성과급 지급 대상을 임원에서 일반 직원으로까지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자사주를 성과급으로 받은 삼성전자 임원들이 재직 기간 중에 주식을 파는 경우는 드물 것으로 관측된다. 임원들이 자기 회사 주식을 사고 팔때 반드시 공시해야 되는데 회사 내외부의 입방아에 오르내릴 수 있어 부담스럽게 여긴다.
삼성전자는 이번 자사주 성과급 지급으로 현금 유출 없이 의결권 있는 우호 지분을 확보하게 됐지만 임원들은 세금 부담이 발생했다. 받은 주식 규모에 비례해 세금을 내야 하기 때문이다. 주식을 팔지 못하는 상황에선 갖고 있던 현금으로 세금을 납부해야 해 고심하는 이들도 있다고 전해진다.
재계 관계자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 등이 가시화되는 상황 속에 LTI가 경영권 안정을 도모하고 장기적으로 꾸준히 성과를 낼 수 있는 동력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며 "당장 세금이 부담스러울 수 있지만 주가가 상승하면 모든 것이 보상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임원들이 자사주를 직접 받음으로써 주가 상승에 따른 이익과 하락에 따른 손실을 함께 부담하는 구조가 마련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주가 상승을 이끄는 유인이 보다 강해져 LTI 제도 도입으로 책임경영과 주주가치 제고를 동시에 꾀할 수 있게 됐다는 것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임원들이 자사주를 보유하게 되면서 경영진의 이해관계와 주가가 직결되게 됐다"며 "책임경영 실현과 주주가치 제고를 동시에 이룰 수 있는 조치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한편 가장 많은 자사주를 수령한 인물은 노태문 디바이스경험(DX) 부문장 직무대행(사장)으로 2만2679주를 받았다. 주식 취득 가액인 7만400원으로 환산할 경우 약 15억9660만원 규모다. 정현호 사업지원TF 부회장이 1만3419주(9억4469만원), 박학규 사업지원TF 사장이 9820주(6억9132만원)로 뒤를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