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전경. /사진제공=경과원

경기도가 경기도 소공인 복합지원센터 확대 구축 사업의 운영기관으로 성남산업진흥원과 화성상공회의소를 최종 선정했다고 7일 밝혔고다.

소공인 복합지원센터는 동일 업종 소공인 밀집지역에 구축하는 공동 지원시설이다. 소공인들이 고가의 전문 장비를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실무형 기술 교육을 제공한다. 이번에 선정한 성남산업진흥원은 성남시 상대원동의 식료품 제조업 집적지구를, 화성상공회의소는 화성시 봉담읍의 금속가공제품 제조업 집적지구를 지원하게 된다.


두 기관은 최대 3억원씩 사업비를 지원받으며, 스마트 제조 공동장비 구축, 장비 활용 교육·기술 컨설팅, 소공인 네트워크 형성, 협동조합 설립 등 주요 사업을 추진한다. 소공인 복합지원센터는 단순한 장비 지원뿐만 아니라 기술 자립과 상생 협력 구조를 갖춘 스마트 제조 생태계 구축에 중점을 둔다.

특히 이번 사업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소공인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해 장비 공동 활용을 포함 지속 가능한 운영을 위한 협동조합 설립, 소공인 간 네트워크 강화도 함께 추진된다.

경과원은 지난 5월 도내 13개 소공인 집적지구의 운영기관을 대상으로 공모를 진행해 서류심사, 현장조사, 발표평가를 거쳐 최종 2개 기관을 선정하고 협약을 체결했다.


도는 이번 사업을 포함해 2026년까지 소공인 복합지원센터 총 8곳을 순차적으로 구축할 예정이다. 각 센터는 지역 주력업종에 맞춘 맞춤형 장비와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특히, 우수 센터에는 장비 고도화, 추가 지원도 검토할 계획이다.

김현곤 경과원장은 "경기도 제조업체의 87%를 차지하는 17만여 명 소공인은 지역 산업 생태계의 핵심 기반"이라며 "복합지원센터가 소공인들의 디지털 전환과 기술혁신을 이끄는 실질적인 거점이 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