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게키 마츠야마의 첫 한국 개인전 '포트레이츠(Portraits) V' 포스터 (CDA 제공)

(서울=뉴스1) 김정한 기자 = 일본 현대미술가 시게키 마츠야마의 첫 한국 개인전 '포트레이츠(Portraits, 초상화) V'는 8일부터 9월 6일까지 성수동 CDA에서 열린다. 기술 발전 속에서 정체성의 의미를 되짚어보는 흥미로운 기회다.

이번 전시에서는 작가의 대표 연작인 '포트레이츠 오브 대즐'(Portrait of Dazzle)의 신작과 함께, 디지털 시대의 정체성을 다룬 '어나너모스 히어로즈'(Anonymous Heroes) 시리즈를 선보인다. '익명의 영웅들'이라는 의미다. 또한 관객이 직접 작품 속으로 걸어 들어가 시각적 교란을 체험할 수 있는 몰입형 공간 '대즐 룸'(Dazzle Room)도 마련됐다.


초상화는 전통적으로 특정 인물을 직접 묘사하는 회화 양식이다. 하지만 시게키 마츠야마의 '포트레이츠 오브 대즐' 시리즈는 이러한 전통을 완전히 뒤집는다. 작가는 온라인에 게시된 수많은 얼굴 사진에서 눈을 추출한 후, '대즐위장' 패턴으로 가려진 인물 실루엣 위에 투영하는 방식으로 작품을 제작한다.

작품 속 눈동자는 관람객이 아는 누군가의 것일 수도, 심지어 본인일 수도 있다는 생각을 불러일으킨다. 이는 디지털 타투, 딥페이크, 생성형 AI 등 현대 기술이 야기하는 사회적 이슈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포트레이츠(Portraits) V' 전시 전경 (CDA 제공)

작품에 자주 등장하는 '대즐위장'은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사용된 함선 위장 기법에서 유래했다. 복잡한 흑백 패턴으로 적의 눈을 혼란스럽게 만들었던 대즐위장은, 정보의 진위가 불확실한 현대 사회의 혼란을 은유적으로 표현하는 장치로 사용된다.


시게키 마츠야마는 반복적인 패턴과 강렬한 색채를 통해 시각적 즐거움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현대 기술과 사회가 개인의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시게키 마츠야마의 작업은 초기 일러스트레이터 경력과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이후의 철학적 사유에서 큰 영향을 받았다. 그는 이후 회화, 오브제, 설치물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며 현대 사회의 소비문화, 대중문화, 미디어, 기술 등이 인간의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작품으로 재해석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