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홈플러스 매각 절차를 둘러싼 의혹이 국정감사 도마 위에 올랐다. 김광일 홈플러스 대표는 "우선협상 대상자가 있다고 말한 적 없다"며 "제한적인 인수 희망자와 협상 중"이라고 밝혔으나 야당 의원은 '시간 끌기 후 청산' 의혹을 제기하며 강하게 질타했다.
김 대표는 14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했다. 김남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9월 유력한 협상 대상자가 있다고 했는데 갑자기 공개 입찰로 전환한 이유가 무엇이냐"고 묻자, 김 대표는 "제한적인 협상자와 협의 중이라고 말씀드렸다. 공개 매각 절차는 법원에서 예정돼 있어 절차대로 진행한 것"이라며 기존 발언을 정정했다.
이에 김 의원은 "인가 전 M&A 시한이 11월10일인데, 불과 20일을 남기고 공개모집으로 인수자를 찾을 수 있겠느냐"고 지적하며 "결국 인수자가 나타나지 않으면 청산 절차로 가려는 계획이 아니냐"고 의혹을 제기했다.
그러면서 "홈플러스를 정상화하려면 피해 복구에 4617억원, 운영자금 2000억원 정도가 필요한데 그런 조건으로 협상했느냐"고 따져 물었다. 김 대표는 "M&A 과정을 상세히 말씀드리기 어려운 점을 양해해달라"며 구체적인 답변을 피했다.
이날 국감에서는 대주주인 MBK파트너스의 책임론도 불거졌다. 김 의원은 김병주 MBK 회장에게 "대기업 식품업체들이 신용 문제로 현금 선납을 요구하고 있다"며 "납품 대금 보증도 못 해주느냐"고 비판했다. 김 회장은 "홈플러스 운영은 제가 관여하는 부분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