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과 미국, 일본 등 11개국으로 구성된 다국적제재모니터링팀(MSMT)은 북한이 불법 사이버 활동으로 4조원 규모의 가상자산을 탈취했다고 밝혔다.
지난 22일 MSMT는 '북한의 불법 사이버 활동'을 주제로 한 보고서를 발간하고 이에 대한 참여국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이는 북한의 주요 사이버 조직, 가상자산 탈취·세탁, 해외 IT 인력 활동, 정보 탈취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해 1월부터 지난 9월까지 총 28억4000만달러(약 4조원) 규모의 가상자산을 탈취했다. 올해에만 약 16억5000만달러(약 2조3500억원)를 빼돌렸다. 북한은 탈취한 가상자산을 세탁한 후 중국, 러시아, 홍콩, 캄보디아 등에 소재한 해외 브로커를 통해 세탁·현금화하고 있다.
또 북한은 중국, 러시아, 라오스, 캄보디아, 적도기니, 기니, 나이지리아, 탄자니아 등 최소 8개국에 약 1000~2000명의 해외 IT 인력을 파견해 활동 중이다. 이들은 원자력공업성·군수공업부 등 유엔 제재 대상 단체의 하위기간에 소속돼 있으며 수입의 절반가량을 북한에 송금하고 있다.
특히 가상자산을 세탁·현금화하는 과정에선 한국인 대상 범죄로 문제가 된 캄보디아 조직을 이용했다. 보고서에는 북한이 캄보디아 금융 플랫폼 후이원 그룹(Huione Group) 및 후이원 페이(Huione Pay)를 활용했다는 구체적인 정황이 포함됐다. 북한 정찰정보총국과 연계된 북한 국적자들은 2024년 5월 일본 DMM 비트코인 등으로부터 탈취한 3760만달러(약 540억원)를 후이원 페이로 세탁했다.
북한 국적자들은 2022~2024년 가상자산 세탁 과정에서 후이원 페이 직원들과 긴밀히 협업했으며 제재 대상 단체인 '청송연합' 관련 인물들은 2022년 베트남 게임사인 액시 인피니티(Axie Infinity) 해킹 사건(6억달러·8500억 규모) 자금 세탁에도 관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