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공사 본사. /사진=머니S DB

이재명 정부가 '산업재해와의 전쟁'을 선포하며 산재 근절에 온 힘을 쏟고 있는 가운데, 정부 산하 공공기관인 한국농어촌공사 발주 현장에서 잇따라 근로자와 주민 사망사고가 발생해 정부 안전 정책에 역행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28일 머니S 취재를 종합하면 지난달 15일 오전 9시 5분쯤 군산시 금강하굿둑 갑문교에서 농어촌공사 발주 전기케이블 보수 작업을 하던 일용직 50대 근로자가 강으로 추락한지 1시간만에 숨진채 발견됐다.


지난달 23일 오전 8시 25분쯤에는 경남 창녕의 하천 배수로 공사 중 건설기계가 하천으로 넘어져 60대 기사가 숨졌다. 이 공사는 한국농어촌공사 창녕지사가 발주한 것이다. 경찰은 약한 지반에 천공기 바퀴가 빠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고용노동부도 산업안전보건법과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 등을 들여다 보고 있다.

이달 3일 오전 10시17분쯤 농어촌공사 영암지사 발주 농업용수로 공사 현장에 콘크리트를 납품하고 돌아가던 레미콘 차량에 치여 80대 주민이 숨졌다. 주민이 사망한 곳은 통행로로 사용하던 공터였고, 공사 현장과 40m 정도 떨어진 곳이었다.

경북 상주에서는 이달 초순 자연재해위험을 개선하기 위한 공사에서 60대 작업자가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지난 11일 오전 11시 38분쯤 태봉리의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배수펌프장 설치공사' 현장에서 작업 중이던 60대 작업자가 고소작업차와 구조물 사이에 머리가 끼이는 사고로 숨졌다.

최근 두 달사이에 농어촌공사 발주 현장에서 추락과 끼임사고로 작업자 3명과 현장 인근 주민까지 안전관리미흡으로 안타까운 목숨을 잃은 것이다.

이와 관련해 한국농어촌공사가 반복된 인재(人災)를 방지하기 위해 지난 4일 충북 청주에서 김인중 사장 등이 참여한 '전국 부서장 안전토론회'를 긴급 개최했지만 사후약방문이란 비난을 면키 어렵게 됐다.

농어촌공사 관계자는"사망사고가 연이어 터져 당황스럽다. 중대재해 예방 등 안전사고를 막기 위한 메뉴얼은 잘 갖춰져 있는데 현장에서 적용이 잘 안되는 것 같다. 현장의 안전관리 체계가 실효성 있게 작동되록 다양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한편 농식품부는 근로자 잇단 사망사고와 관련해 농어촌공사의 안전관리 업무의 원점 재검토를 지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