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기술 기업들이 미국 견제를 우회하기 위해 해외에서 AI 모델 훈련 방안을 확대하고 있다.
지난 27일(이하 현지시각)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알리바바, 바이트댄스 등 중국 빅테크 기업들이 최신 대형언어모델(LLM)을 동남아시아 여러 데이터센터에서 훈련하고 있다. 미국이 지난 4월 엔비디아의 중국 전용 반도체 H20 판매를 추가로 제한한 후 해외 훈련 사례가 꾸준히 늘고 있다.
싱가포르 한 데이터센터 운영자는 "여기로 오는 건 너무나 당연한 선택"이라며 "최첨단 모델을 만들려면 최고급 칩이 필요하다. 이 모든 것이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에서는 중국 수요 증가에 힘입어 대규모 데이터센터 클러스터가 빠르게 성장했다. 이들 시설 대부분은 미국 빅테크 기업이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고성능 엔비디아 칩을 갖고 있다.
관계자들은 중국 기업들이 주로 비 중국계 기업이 소유·운영하는 해외 데이터센터를 임차하는 방식을 사용한다고 밝혔다. 이는 미국 수출통제 규정을 위반하지 않는 합법적 구조다. 바이든 행정부가 이 우회를 막기 위해 도입했던 '확산 규칙'을 올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폐기하면서 규제가 사라졌다.
다만 중국 IT기업 딥시크는 중국 내에서 자체 훈련하는 것을 선택했다. 딥시크는 미국의 칩 수출 제한 조치가 발효되기 전 이미 대규모 엔비디아 칩 클러스터를 선제 확보했기 때문이다. 아울러 화웨이를 중심으로 한 중국 반도체 업체들과 협력해 차세대 AI 칩 개발·최적화 작업도 진행 중이다.
LLM 훈련에는 방대한 데이터 처리에 필요한 막대한 컴퓨팅 파워가 요구된다. 이에 중국 대부분 기업은 여전히 엔비디아 고성능 칩을 선호하고 있다. 중국 기업들은 동남아 데이터센터를 AI 훈련뿐 아니라 해외 고객 대상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에도 활용하고 있다. 중국 기업들은 동남아뿐만 아니라 중동과 다른 국가 데이터센터 진출도 확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