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조선사들이 자율운항 선박을 차세대 먹거리로 정하고 관련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자율운항 선박은 기존 선박에 정보통신(ICT), 센서, 스마트기술 등을 융합해 시스템이 배를 제어하고 운항하도록 하는 선박이다.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센서 등 모든 디지털 핵심기술을 융합해 선원 없이 스스로 최적 항로를 설정하고 항해할 수 있는 차세대 고부가가치 산업이다.
HD현대의 선박 자율운항 전문회사인 아비커스(Avikus)가 개발한 하이나스 2.0은 각종 항해장비 및 센서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융합해 선박이 최적 항로와 속도로 운항할 수 있도록 안내·제어하는 인공지능(AI) 기반의 자율항해시스템이다. 선박이 최적 항로와 속도로 운항하면 연료 사용량이 줄어 경제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실가스 배출 저감을 통해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삼성중공업은 노르웨이 '콩스버그'(Kongsberg Maritime AS)와 자율운항선박 개발을 위한 공동 개발 프로젝트 협약(JDA)을 체결했다. 삼성중공업은 이번 협약을 통해 최신 원격자율운항기술 및 저탄소 기술을 최적화해 에너지 효율을 높인 17만4000m³급 차세대 LNG운반선을 개발한다는 목표다.
대우조선해양은 지난해 11월 자율운항 시험선 단비(DAN-V)를 건조하고 서해 제부도 인근 해역에서 해상시험을 진행했다. 삼성중공업도 같은 달 9200톤(t)급 대형선박에 자체 개발한 원격자율운항 시스템 SAS(Samsung Autonomous Ship)를 적용하고 서해에서 출발해 동해까지 이동하는 자율운항 연안 실증에 성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