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해 비대면 교통수단인 '따릉이' 대여 건수가 지난해보다 3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서지은 기자 |
#직장인 양모씨(남·30)는 지하철역에서 회사까지 도보로 15분가량 걸어서 출퇴근한다. 걸어가기엔 멀고 대중교통을 타기엔 가까운 애매한 거리여서 고민 끝에 새로운 교통수단을 이용하기로 했다. 바로 서울시 공유 자전거 ‘따릉이’. 서울 지하철역 근처 어디서나 볼 수 있는 따릉이 정류장에서 자전거를 빌려 출퇴근한지 벌써 3개월째다.
특히 주말보다는 평일, 출 퇴근시간대 높은 이용률을 보였다. 이는 양씨처럼 많은 직장인들이 따릉이를 대중교통 이용 전후 이동을 보완하는 ‘퍼스트-라스트 마일’ 역할로 사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자전거 도로, 아직 조금 부족해
![]() |
기자는 2시간 동안 총 12km 거리를 자전거로 이동하면서 자전거 도로를 취재했다. 사진은 자전거 도로의 모습과 애플워치에 기록된 자전거 이용 거리와 시간. /사진=서지은 기자 |
조금씩 빗방울이 떨어지는 흐린 주말, 기자는 집 근처 왕십리역 4번 출구에 있는 따릉이 정류장으로 향했다. 따릉이를 타고 시작하는 길은 잘 갖춰진 빨간색 자전거도로 덕에 수월하게 이동할 수 있었다.
![]() |
자전거 도로임에도 보행자들이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고 도로도 좁아 자전거 1대 이상 지나가기 불편했다. 사진은 청계천 자전거 도로의 모습. /사진=서지은 기자 |
좁은 자전거도로도 걸림돌이다. 청계천 자전거도로는 자전거 1대만 지나가기에도 버겁다. 가장 많이 들었던 말은 “비켜주세요.” 비좁은 도로에서 추월하려는 자전거를 비켜주기 위해 멈춰서 내릴 수밖에 없었다.
![]() |
차도를 건널 때는 자전거와 비보호 좌회전 차량이 부딪힐 뻔한 경우도 있었다. 사진은 차도를 건너는 자전거들의 모습. /사진=서지은 기자 |
![]() |
자전거도로가 없거나 턱이 높아 올라가기 어려운 경우도 있었다. 사진은 차도에서 자전거도로로 올라가는 경우 높은 턱의 모습. /사진=서지은 기자 |
성숙한 시민의식이 만드는 자전거문화
![]() |
서울시설공단에서 제공한 따릉이 파손사례와 고장 신고 건수. /사진=서울시설공단 |
저녁에 운동 삼아 따릉이를 자주 이용한다는 이모씨(25)는 “가끔 안장 조절이 안 되거나 타이어에 바람이 빠져있는 경우가 있었다”며 “고장낸 사람이나 발견한 사람이 바로 신고 등의 조치를 해야 하는데 방치해 두고 가는 경우가 많아 아쉽다”고 전했다.
이외에도 따릉이 정거장이 아닌 길 아무 곳에나 자전거를 주차한 사례도 종종 볼 수 있다. 서울시설공단은 이에 대해 “다수가 이용하는 공공자전거인 만큼 내 것처럼 소중하게 아껴줬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자전거 고속도로까지?” 네덜란드처럼 되려면
![]() |
네덜란드는 자전거도로가 3만5000km로 전체 도로 길이의 25%를 차지한다.사진은 지난 6월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이 자전거를 타는 모습. /사진=로이터 |
해외시장뉴스 KOTRA에 따르면 네덜란드의 경우 자전거도로가 3만5000km로 전체 도로 길이(14만km)의 25%를 차지한다. 고속도로에도 자전거도로가 잘 갖춰져 있고 웬만한 자동차도로 편도 1차선보다 넓다. 자전거를 탈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동시에 어린이부터 성인까지 안전과 시민의식에 대한 교육을 통해 성숙한 자전거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
네덜란드는 많은 수요, 인프라, 시민의식까지 삼박자가 잘 어우러져 자전거 강국으로 자리잡았다. 우리나라도 사회 흐름에 따라 인프라 확충과 함께 성숙한 시민의식이 자리잡아야 할 때다. 서울시설공단도 안전문화 홍보와 안정성 개선을 통해 따릉이를 더욱 활성화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씨는 “자전거가 더 대중화되고 인프라가 잘 확충돼 나중에는 자동차보다 자전거가 많아지는 세상이 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