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재인 태안.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충남 태안군 만리포해수욕장에서 열린 서해안 유류 피해 극복 10주년 행사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문 대통령은 이날 충남 태안군 만리포해수욕장에서 개최된 행사에서 "지난 6월 한 달간 보령화력발전소 1·2호기와 서천 1·2호기 등 충남의 4기를 포함한 전국 8기의 노후 석탄발전소 가동 중단을 지시했다. 그 결과 그 기간 동안 충남 지역 미세먼지 농도는 지난 2년 평균치보다 15.4% 낮아졌다"며 "앞으로 노후 석탄발전소 가동 중단을 매년 봄철 정기적으로 시행하면서 폐쇄 시기를 최대한 앞당기겠다"고 공언했다.
그는 "충남의 하늘이 맑아야 서울의 하늘도 맑다. 현재 수도권으로 한정된 대기관리권역 지정을 충남권을 비롯한 전국으로 확대하겠다"며 "전국 미세먼지 배출량의 38%, 충남에서는 35%의 비중을 차지하는 사업장 미세먼지에 대한 총량관리제를 도입해 충남과 대한민국의 공기를 깨끗하게 만들어 가겠다. 국내 미세먼지 문제를 보다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길은 우리의 에너지를 깨끗하고 안전한 미래 에너지로 전환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문 대통령은 2007년 12월 일 태안 앞바다에서 발생한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 유출 사고를 언급하며 "정부는 깨끗한 바다를 지키기 위한 안전·재난 관리에 더욱 힘쓰겠다. 재난에 미리 대비할 수 있도록 예보, 경보 시스템을 갖추겠다. 세계 최초로 초고속 해상 재난 안전 통신망을 구축해 해양 안전을 확보하겠다. 지자체의 능력을 넘는 해양재난과 재해에 대해서는 지자체와 국가 기관 간의 협업 체계를 갖춰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모두가 기억하는 2007년 그 때 저는 노무현 전 대통령과 함께 이곳 태안에 왔다. 10년 전 이곳은 사상 최악의 유류 오염 사고로, 검은 재앙이 덮친 곳이었다. 노 전 대통령과 참여정부는 당시 피해를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 국가의 자원과 역량을 총동원했다"며 "하지만 오염은 걷잡을 수 없게 번졌고, 해안과 바닷가는 기름으로 뒤덮였다. 당시 해양 전문가들은 원상 회복까지 20년 이상 걸릴 것이라고 예측했다"고 회상했다.
문 대통령은 "그러나 위기의 순간마다 놀라운 응집력과 강인함을 보여줬던 우리 국민들이 있었다. 전국에서 온 123만명의 자원봉사자들이 팔을 걷어붙이고 자갈과 바위를 하나하나 닦아냈다"며 "1만명도 아니고, 10만명도 아니고, 무려 123만명이었다. 민·관·군을 합치면 연인원 213만명이 온 힘을 다해 방제에 나섰다. 전국 방방곡곡에서 국민성금이 답지했고 세계에서 유례없는 감동적인 장면이었다"고 평가했다.
그는 "연안으로부터 배타적경제수역(EEZ)까지 전 해역의 통합 관리를 실시하겠다. 우리 바다가 주는 혜택을 후대까지 물려줄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관리해 나가겠다"며 "서해 갯벌은 세계 5대 갯벌 중 하나다. 우리 후손들이 이 아름다운 해안과 천혜의 갯벌을 체험하고 누릴 수 있도록 개발과 보전의 조화를 이뤄 가야 한다. 서해의 연안·하구 관리와 생태계 보전·복원을 위한 충남도의 노력에 힘을 보태겠다"고 약속했다.
문 대통령은 "돌이켜보면, 대한민국의 모든 기적은 국민이 만든 것이었다. 1997년 외환위기, 2007년 서해 기름 유출 사고, 2016년 국정농단과 헌법 유린 사태를 극복한 힘은 모두 국민이었다"며 "이 나라의 민주화와 경제 발전의 역사에는 국민의 숨결과 긍지가 깃들어 있다. 이곳 태안에는 국민의 손길이 닿지 않은 곳이 없다. 충남도민, 태안군민 여러분과 전국의 자원봉사자 여러분께 다시 한 번 깊은 경의를 표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날 서해안 유류 피해 극복에 기여한 봉사자 및 단체에 훈장을 수여했다. 이번 행사에는 김은경 환경부 장관, 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 안희정 충남지사, 충남 지역구 의원인 성일종 의원(자유한국당)과 김종민 의원(더불어민주당) 등이 참석했다. 청와대에서는 장하성 정책실장, 전병헌 정무수석, 김수현 사회수석 하승창 사회혁신수석, 박수현 대변인 등이 함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