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현대제철 1고로./사진=현대제철 |
지난 16일부터 이틀 간 총파업에 들어간 현대제철 노동조합이 가시적인 성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제철은 노조파업으로 총 1000억원의 손실을 기록했고 파업기간 몰린 주문을 소화하지 못 해 제품 출하가 지연되는 현상은 이어지고 있다. 현대제철 노조는 경영진 측에 압박수위를 높일 방침이다.
23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현대제철 노사는 이날 임금 및 단체협상을 재개한다. 노조는 우선 사측의 제시안을 보고 쟁의대책위원회를 열어 향후 투쟁방향을 결정할 예정이다. 앞서 노조는 사측이 교섭에 성실히 임하지 않는다며 16일부터 17일까지 48시간 총파업을 진행했다.
현대제철 노조 관계자는 "앞서 단체교섭 결렬 선언을 했을 때는 사측과 추가 교섭이 있을 수도 있다는 의미였다"면서 "이번에 중단되면 사측과 교섭이 어려울 수도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노조가 이처럼 공세를 펼치는 데는 지난 파업으로 인한 현대제철 측 손실이 예상보다 컸기 때문이다. 현대제철전국금속노조 산하 인천·충남·포항·당진·광전지부 등 5개 지회 조합원 8000여명이 참여해 공장가동이 중단되면서 1000억원의 손실이 발생했다.
그 여파가 지속되고 있다는 게 문제다. 현대제철은 올 10월 주요 공장 설비 대보수를 진행하고 있다. 파업이 발생하면서 공장별 보수 일정이 꼬인 상태다. 철근 같은 주요제품은 주문과 생산일정에 맞춰 출하가 이뤄진다. 공장가동 중단으로 인한 생산차질과 파업집회로 인한 출하지연으로 매출 발생에 차질이 발생하는 중이다.
철근은 현대제철 전체 판매의 50%를 차지한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철근 제품은 출하 지연에 따른 차질이 발생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에 따른 대응책 마련이 필요해 보인다고 전했다”고 말했다.
현대제철 노조는 올해 임금협상과 관련해 기본급 12만3526원 인상, 성과급으로 영업이익의 15% 지급, 정년연장(국민연금 수급 개시 연령과 연계) 등을 요구한 상태다. 노조는 이번 임단협에서 그동안 불문율로 적용돼왔던 ‘양재동 가이드라인’을 벗어나겠다는 입장이다.
양재동 가이드라인은 현대차·기아차가 타결한 임단협을 기준으로 현대제철 등 제조 계열사가 그보다 낮은 수준으로 임단협을 타결해온 ‘암묵적인 지침’이다. 사측은 기본급 인상을 논의하기 전에 임금지급 방식과 체계를 바꿔 최저임금법 위반 먼저 해결하자는 입장이어서 노사갈등이 장기화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