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사진=현대차그룹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사진=현대차그룹
최근 중국 사업에 다시 공들이는 현대자동차가 제네시스 브랜드를 통해 프리미엄 브랜드로의 도약을 알린다. 올 들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을 벗어나기 어렵다고 판단, 점차 회복세에 접어든 중국시장에서 해법을 찾으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현대자동차는 지난 26일 3분기 경영실적 콘퍼런스콜을 열고 주요 시장 중 하나인 중국이 정부의 공격적인 부양정책에 힘입어 V자 반등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고급차를 중심으로 시장이 회복세를 보인 것으로 분석했다.

이처럼 중국 시장이 회복세를 보임에도 현대차(북경현대)의 3분기 기준 판매실적은 전년 대비 32% 감소한 30만대 수준에 머물렀다. 중국 내수시장이 포화상태에 달한 데다 한국의 사드 배치 등으로 인한 제재 여파가 겹쳤고 이를 극복하는 게 최우선과제로 꼽힌다. 중국 자동차 산업수요는 2017년 2414만대를 기록한 이후 2018년 2302만대, 지난해 2080만대로 감소세를 보인다.


하지만 친환경차와 고급차, SUV는 중국 시장에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현대차는 고급차 브랜드로의 체질개선을 바탕으로 시장변화에 대응하면 판매 확대를 꾀한다. 이를 위해 내년 중 중국에 고급차 브랜드인 제네시스를 공식 선보이고 국내에서 중국으로 수출되는 대형SUV 팰리세이드도 힘을 보탠다. 현대는 11월 중국국제수입박람회(CIIE)에 참가해 공식 출시 전 제네시스 브랜드를 알릴 예정이다.

이와 함께 내년 상반기 미스트라와 신형 투싼을 연이어 투입할 계획이다. 하반기에는 중국 전용 MPV 및 글로벌 전용 순수전기차(EV) 등을 출시한다. 현대차는 전기차 브랜드를 '아이오닉'으로 통합하고 내년부터 스포츠카와 CUV 등 다양한 신차 출시를 예고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프리미엄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고 전용EV 라인업 기반 아이오닉 브랜드를 중국에 투입해 미래차 부문도 적극적으로 대응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