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운 우리 새끼'가 만화가 겸 유튜버 이말년(침착맨)과 주호민의 유튜브 콘텐츠를 표절했다는 의혹에 공식 사과했다. /사진=SBS 제공
'미운 우리 새끼'가 만화가 겸 유튜버 이말년(침착맨)과 주호민의 유튜브 콘텐츠를 표절했다는 의혹에 공식 사과했다. /사진=SBS 제공
웹툰 작가 겸 유튜버 이말년의 콘텐츠와 유사성 논란에 휩싸인 SBS ‘미운우리새끼’가 공식 사과했다. SBS 예능 프로그램 ‘미운 우리 새끼’(이하 ‘미우새’) 측은 11일 오전 공식입장을 통해 “‘미운 우리 새끼’에서는 과거에도 ‘외계인은 있다 vs 없다’ ‘초능력자는 있다 vs 없다’ ‘닭이 먼저인가 vs 알이 먼저인가’ 등의 주제 토론을 방송했다"며 "지난 9일 방송에서도 김종민 본인이 진행한 웹 예능 ‘뇌피셜’(2018.8)에서 다뤘던 ‘동물의 왕은 사자 vs 호랑이’라는 주제로 토론을 진행했다”고 전했다.

‘미우새’ 제작진 측은 “방송에 나오지는 않았으나 촬영 현장에서 토론의 여러 가지 근거를 찾아보았다. 이 과정에서 이말년 웹툰작가의 유튜브 ‘침펄토론’ 영상(2018.11)을 참조하였고, 이 부분을 사전에 방송으로 고지하지 못한 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이어 “이말년 웹툰 작가와 연락하여 과정을 설명하고 사과의 뜻을 전달하였다. 이번 일을 교훈 삼아 향후 ‘출처 표기’에 각별히 주의할 것을 약속드린다”고 고개를 숙였다.

‘미우새’는 지난 9일 김종민과 지상렬이 다양한 주제를 두고 끝장 토론을 펼치는 모습을 방송했다.
‘사자와 호랑이 중 누가 더 강한가’를 두고 토론을 시작한 두 사람은 ‘88올림픽 마스코트가 호돌이다’, ‘라이언 킹이다’, ‘호랑이가 곶감을 얼마나 무서워 하냐’, ‘드렁큰 타이거 모르냐. 드렁큰 라이언은 없다. 호랑이는 간이 약하다’, ‘옷 잘 입고 다니는 사람은 호피무늬를 입는다’, ‘의사, 검사, 변호사, 판사 등 잘 나가는 직업은 다 ‘사’자다’라고 의견을 주고 받으며 팽팽한 대립각을 세웠다.

이 내용과 흐름은 이말년, 주호민의 ‘침펄토론’과 거의 유사했다. 두 사람이 주고받는 말을 표현만 살짝 바꿨을 뿐, 그대로 참고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비슷해 시청자들의 지적이 이어졌고, SBS는 문제를 인지한 듯 ‘미우새’ 클립 영상을 삭제했다.

지난해 12월 SBS의 다른 예능 프로그램 ‘골 때리는 그녀들’ 방송편집 조작 논란 여파가 식지 않은 가운데 ‘미우새’에서 표절 논란이 불거지면서 SBS 예능국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