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증권거래소/사진=머니S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사진=머니S

뉴욕증시는 7일(현지 시각) 혼조 마감했다. 종가 기준 지난해 8월과 4월 이후 최고치를 경신한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고점 부담에 하락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장보다 91.74포인트(0.27%) 오른 3만3665.02에 장을 마감했다.


S&P500지수는 전장보다 16.33포인트(0.38%) 하락한 4267.52,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71.52포인트(1.29%) 떨어진 1만3104.90에 각각 거래를 끝냈다.

다음주 예정된 미국 중앙은행(Fed)의 통화 정책회의를 앞두고 국채금리가 상승하고 연준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커지면서 기술주는 하락했다.

테슬라는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을 근거로 보조금 전액을 받을 것이라는 소식에 힘입어 1.47% 상승했다. 반면 리시안은 배터리 재료 생산 서류 미비로 반절만 보조금 혜택이 있다는 소식에 4.69% 하락했다. 더불어 니오(-1.52%), 샤오펑(-3.12%) 등 중국 전기차 업종도 부진했다.


엑슨모빌(2.24%), 셰브론(2.59%) 등 에너지 업종은 국제유가가 사우디의 자발적인 감산 효과에 대해 재평가하며 상승하자 강세를 보였다. 더불어 드라이빙 시즌 수요 증가 기대 심리도 영향을 미쳤다.

이날 캐나다중앙은행(BOC)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추가 인상했고 호주중앙은행(RBA)도 시장의 예상과 달리 깜짝 금리 인상에 나서면서 연준이 6월 금리를 동결할 것이라는 시장의 예상이 빗나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졌다.

10년물 국채금리는 장중 0.01%포인트 이상 오른 3.8%를 돌파했다. 지난 5월26일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